트럼프의 자충수…미·중 무역전쟁에 '메이드 인 아메리카' 위기

2018-07-06 11:24
트럼프 폭탄관세 글로벌 공급망 위협…美제조업 '관세비용' 떠안아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연합뉴스]


"미국 제조업을 되살리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16년 대선 유세 때부터 입버릇처럼 해온 말이다. 그는 미국의 막대한 무역적자를 문제 삼으며, 중국을 비롯한 무역대국에 본때를 보여주자며 표심을 자극했다. 미국 제조업 중심지, 이른바 '러스트벨트'에서 표가 쏟아진 이유다.

러스트벨트는 오하이오, 미시간 등 과거 제조업 기반으로 미국 경제의 호황을 주도했던 지역이다. 미국 제조업이 쇠퇴하면서 '녹(러스트)'이 슨 지역이 됐다. 미국 기업들이 비용절감을 위해 중국 등지로 생산기지를 옮기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 입성한 뒤 '엄포'를 실행에 옮겼다. 수입산 철강, 알루미늄에 각각 25%, 10%의 추가 관세를 물리고, 연간 500억 달러어치의 중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물리기로 한 게 대표적이다. 트럼프는 5일(현지시간) 이미 예고한 대로 6일 오전 0시 1분부터 340억 달러어치의 중국산 제품에 먼저 폭탄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트럼프의 반무역 공세가 오히려 중국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 생산기지를 둔 미국 제조기업들을 위협하는자충수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트럼프 행정부도 역풍을 최소화하려고 신경 쓴 기색이 역력하다. 애플의 아이폰을 비롯한 소비재를 폭탄관세의 예외로 인정한 것이다. 애플은 대만 회사인 폭스콘의 중국 공장에서 대부분의 제품을 생산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그러나 미국이 트럼프의 반무역 공세에서 비롯된 글로벌 공급망 위기로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전쟁을 통해 '리쇼어링(reshoring)'을 원하지만, 만만치 않은 비용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리쇼어링은 기업들이 해외로 옮겼던 생산기지를 다시 본국으로 이전하는 걸 말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리쇼어링을 통한 미국 제조업의 부활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 것이라고 장담했다.

미국 제조업계 이익단체인 전미제조업협회(NAM)는 최근 회원사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무역전쟁 여파로 중간재 가격과 완제품 가격이 내년에 약 5%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고 발표했다. 

제이크 파커 미중무역전국위원회(USCBC) 중국 담당 부대표는 공급망이 관세 영향을 받는 기업들은 납품처를 다른 곳으로 옮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럴 수 없다면, 관세 비용을 최대한 (소비자에게) 전가하거나 이윤을 줄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제조업의 상징 가운데 하나인 오토바이 회사 할리데이비슨은 최근 유럽연합(EU)의 보복관세를 피해 유럽에 수출할 제품 생산지를 미국 밖으로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다른 미국 기업들도 할리데이비슨을 뒤따를 것이라고 경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