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연 "중소기업 수출 확대 위해 인도시장 적극 개척해야"
2018-07-05 08:00
다품종 소량으로 현지화 전략 펼쳐야
중소기업연구원은 5일 '한·인도 수교 45년, 중소기업의 진출 전략과 과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조이현 중기연 수석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미·중 무역전쟁과 한국의 미·중 편중 교역구조는 수출 의존적 우리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정부의 신(新)남방정책은 포스트 차이나 대안 시장으로 아세안과 인도를 타깃으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조 연구위원은 "인도는 2015년 성장률이 16년 만에 중국을 앞질렀으며 세계 3위권의 내수시장과 제조업 육성정책으로 중국에 이은 세계 제2의 공장을 지향하고 있다"며 "잠재력을 고려하면 인도는 포스트 차이나로서 우리 중소기업이 적극적으로 진출할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또 "우리 기업이 인도에 진출하면 세계에 뻗어있는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중동·아프리카 진출 교두보로 삼을 수 있다"며 "중국에 대한 견제와 쏠림 방지를 위해서라도 인도 진출을 더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아세안 지역에 생산공장을 둔 기업들이 인도·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을 활용하는 의미에서 인도 진출을 고려해야한다는 조언도 있다.
조 위원은 "중소기업들이 인도에 나가려면 전략적 사전 준비를 해야 한다"며 "정부와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신시장 정보와 지원프로그램의 실효성을 제고하고 부족한 인도 전문인력 양성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인도는 영토가 넓고 다양한 민족, 종교, 문화에 따른 이질성과 복잡성으로 기업이 진출하는 데 애로사항이 많다"며 "현지시장에 익숙한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발굴해 활용할 수 있게 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한 제언도 있다.
조 위원은 "기업들은 인도에 소득 수준별로 다품목 소량씩 점진적으로 진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가격경쟁력을 위한 저가 전략과 자사 제품의 설계기준(다기능) 완화, 비용절감을 위해 현지 업체에서 부품 조달과 적정품질의 유지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인도 정부가 친기업과 보호무역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우리 기업들도 인도의 국산화율이 낮은 수입의존형 업종에 진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인도는 올해 12월 한국과 수교한 지 45주년을 맞는 주요 교역 대상국이다. 한국의 대(對)인도 무역규모는 1973년 수교 이후 1400배 증가했다. 대인도 수출 비중은 전체의 2.6%로 집계됐다. 중소기업의 대인도 수출 비중은 2.9%로 6위를 기록하고 있다. 대인도 수출기업 8226개 중에서 중소기업 비중은 88.3%(7265개)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