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경제개방 미리보기] 3100km 밖에서 찾은 탈빈곤 아이디어
2018-07-02 04:00
中낙후지역 광시좡족자치구, 탈빈곤 성과
국경 무역·농업 선진화 등 경제 정책 주효
베트남과 상생모델 구축, 김정은 참고할만
국경 무역·농업 선진화 등 경제 정책 주효
베트남과 상생모델 구축, 김정은 참고할만
중국 남쪽 변경인 인구 5600만명의 광시좡족자치구.
베트남과 마주한 국경선이 1020㎞, 남중국해와 맞닿은 해안선이 1500㎞에 달하다 보니 역사적으로 갈등과 분쟁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중국 내 대표적인 낙후 지역이었지만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은 2조396억 위안(약 340조원)으로 31개 지방정부 가운데 18위를 기록하며 중위권에 진입했다.
쑨 부서기는 "1년 소득이 2000위안(약 33만원) 이하인 극빈층이 267만명 정도 남았다"며 "매년 100만명씩 줄여 공산당 창당 100주년이 되는 2021년에는 탈(脫)빈곤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광시의 변화는 발상의 전환에서 비롯됐다.
이웃인 베트남이 '도이머이(쇄신)' 정책으로 경제 발전을 이룬 것도 광시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경 무역과 민간 자본이 투입된 농업 선진화로 빈곤에서 탈출한 광시는 제조업과 정보기술(IT) 분야의 경쟁력 제고에 매진하며 지역 경제의 자생력을 점진적으로 높여 나가고 있다.
광시 경제의 환골탈태는 동북쪽으로 3100㎞가량 떨어진 북·중 접경 지역에서 감지되는 또 다른 변화의 움직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비핵화를 선언하고 대외 개방을 추진 중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우선 과제 역시 탈빈곤이다. 안정적인 경제 성장은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과의 협력 강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방중 기간 중 베이징 농업과학원과 IT 성지인 중관춘에 들러 많은 시간을 보낸 김 위원장의 행보는 광시가 추진한 경제 정책의 궤적과 맥이 닿아 있다.
베트남식 개방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김 위원장은 광시와 베트남의 상생 모델을 통해 많은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