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3성을 잡아라"…북한의 개혁개방이 한국기업에게 주는 새로운 기회

2018-06-04 05:00

박영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선양협의회 회장 [사진=윤이현 기자]


"북한이 나중에 개혁·개방을 하더라도 중국에 대한 투자규모를 줄인다거나 생산라인을 축소하는 일은 당분간 없을 것이다. 오히려 중국을 거점으로 삼아 북한을 공략하는 투자전략을 새로 짜야 할 것이다."

박영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선양협의회 회장 겸 선양한국국제학교 이사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개혁·개방 이후, 한국기업들의 대중 투자전망을 이렇게 내다봤다. 즉, 북한에 대한 직접투자보다는 중국을 통한 간접투자가 더 주목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박 회장은 “북한의 인건비가 아무리 싸더라도 생산가동이나 영업활동에 대한 강력한 법적 보장이 없다면 아무도 투자하지 않을 것”이라며 “정국 불안정 리스크는 기업들이 가장 기피하는 불안요소”라고 꼬집었다. 이어 장사 잘하기로 소문난 중국인도 북한에 투자해서 성공한 사례가 거의 없었다는 말도 덧붙였다.

그는 "1억4000만명에 달하는 인구를 보유한 중국 동북3성(랴오닝·지린·헤이룽장) 지역은 잠재력이 매우 큰 거대 경제권”이라며 “철도·도로 등 인프라가 더 활성화된다면 많은 해외 투자를 유치하고 경제적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동북지역은 주변에 한국·중국·일본·러시아 등 4대 경제체를 접하고 있어 동북아 협력사업과 더불어 경제발전에 매우 유리한 위치에 있다.

과거 동북지역은 중국 공업이 태동한 지역이자 중화학의 전략적 요충지였다. 일본 식민지 지배시절에는 군수 공급을 위한 중화학공업 기지로, 중화인민공화국 건립 이후에는 구(舊) 소련의 원조 하에 전략적 중화학 기지로 자리매김하기도 했다.

박 회장은 “중국 경제의 선두주자였던 동북지역은 개혁·개방 이후 중공업에 편중된 산업구조, 설비 및 기술노후 등의 문제점이 표출돼 지역경제의 활력이 저하됐다”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집권 이후, 노후 공업단지와 공기업을 청산하는 작업과 고부가가치 산업을 유치하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동북지역을 동아시아의 물류중심지로 탈바꿈시켜 과거의 부흥을 충분히 일으킬 수 있다는 기대감도 숨기지 않았다.

한국이 추진하고 있는 ‘한반도 신경제지도’는 중국 동북지역, 러시아 극동지역의 적극적인 협력을 얻어 남북 경제공동체를 구현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겠다는 구상이 담겨 있다. 따라서 중국 동북지역의 부흥은 남북협력 사업에도 큰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박 회장은 "북·중 양국 주민들은 압록강 지역을 통로로 오랫동안 상호왕래를 했고, 동북지역이 북한의 대중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은 수준"이라며 "남·북·중 경제협력이라는 새로운 영역 아래, 북한에 대한 교역과 투자 과정에서 중국의 대북 거래 '노하우'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지난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점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중국은 신압록강대교(2014년)와 제2두만강대교(2016년)를 완공했고, 중국 지안(集安)~북한 만포 간 다리 및 철로를 신축했다. 현재는 중국 투먼(圖們)~북한 남양 간 다리도 새로 건설 중에 있다. 이러한 모든 인프라 구축은 향후 북한의 개방에 대비한 일환으로 분석된다.

박 회장은 "북한과 중국은 제조업·무역·산업단지 조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계획 중에 있다"면서 "이에 따라 철강, 시멘트, 건축자재, 일용 소비품 등 각종 분야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진출할 수 있는 여지도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