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평오 코트라 사장, 모스크바서 취임 첫 무역관장회의 개최
2018-05-16 17:14
- "한-CIS간 경제 및 산업협력을 위한 A to Z를 지원하겠다"
코트라는 15일(현지시간) 권평오 코트라 사장 주재로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취임 첫 무역관장회의(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권 사장은 지난 14일부터 이틀 간 열린 '모스크바 한류박람회'에 참석한 데 이어 회의를 열었다. 통상 신임 사장은 주력시장인 미국이나 중국을 택하는데, 권 사장은 정부의 신북방 정책에 발맞춰 러시아를 선정했다.
권 사장은 "신북방정책을 계기로 한-EAEU FTA의 조속한 체결에 대한 양측 공감대가 형성된 지금이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CIS(독립국가연합)지역 진출의 적기"라며 "코트라는 현지 시장 및 정책조사부터 전략수립, 사업수행, 후속지원까지 상호 호혜적인 한-CIS간 경제 및 산업협력을 위한 A to Z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10명의 CIS지역 무역관장이 모인 이번 회의에서 코트라는 이러한 新북방정책과 연계, 다각적 경제협력 기회를 발굴하고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진출을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코트라는 △러시아 신극동정책과 우리의 신북방정책 연계한 극동러시아 경제협력사업 추진 △ 인프라 등 중앙아시아 진출확대 △ 제조업 육성정책, 기술협력, 한류 등 현지 시장수요를 활용한 진출 확대를 3대 전략으로 제시했다.
블라디보스톡 등 극동지역은 유라시아로 연결되는 경제‧물류 중심지로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 코트라는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러시아 新동방정책과 동북아 시장진출 확대의 지렛대로 삼고자하는 우리의 新북방정책을 연계해 극동 러시아 지역 경제협력 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오는 9월에는 '제4차 동방경제포럼 연계 비즈니스 상담회'를 개최해 농수산물 가공, 물류, 에너지‧광물 등 현지 협력수요와 연계한 진출 교두보를 공고히 할 예정이다.
인프라 개선 등을 통해 정부 주도로 경제개발을 서두르고 있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우리 기업의 진출기회도 적극 모색한다. CIS지역 제2의 수출대상국인 우즈베키스탄에 '플랜트 수주지원센터(5월)'를 설치해 중앙아시아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거점으로 삼을 예정이다.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등 석유의존도가 높은 국가에서도 도로, 농업 등을 중심으로 비석유분야 진출기회 확대 및 프로젝트 수주가 가시화되고 있다.
제조업 육성정책, 기술협력, 한류 등 현지 시장수요를 활용에도 역점을 둘 계획이다. 올해 우리나라가 주빈국인 러시아 최대 예카테린부르크 산업전시회의 한국관(7월, 모스크바)에는 우리기업 100개사 참가해, 러시아 정부의 제조업 육성 정책으로 현지 제조사들의 우리 상용화 기술에 대한 높은 협력수요에 대응할 예정이다.
한편, 모스크바 한류박람회에는 국내외 450개사, 참관객 1만명이 참가해, 한류와 우리 소비재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권 사장은 "신북방정책을 계기로 한-EAEU FTA의 조속한 체결에 대한 양측 공감대가 형성된 지금이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CIS(독립국가연합)지역 진출의 적기"라며 "코트라는 현지 시장 및 정책조사부터 전략수립, 사업수행, 후속지원까지 상호 호혜적인 한-CIS간 경제 및 산업협력을 위한 A to Z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10명의 CIS지역 무역관장이 모인 이번 회의에서 코트라는 이러한 新북방정책과 연계, 다각적 경제협력 기회를 발굴하고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진출을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코트라는 △러시아 신극동정책과 우리의 신북방정책 연계한 극동러시아 경제협력사업 추진 △ 인프라 등 중앙아시아 진출확대 △ 제조업 육성정책, 기술협력, 한류 등 현지 시장수요를 활용한 진출 확대를 3대 전략으로 제시했다.
블라디보스톡 등 극동지역은 유라시아로 연결되는 경제‧물류 중심지로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 코트라는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러시아 新동방정책과 동북아 시장진출 확대의 지렛대로 삼고자하는 우리의 新북방정책을 연계해 극동 러시아 지역 경제협력 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오는 9월에는 '제4차 동방경제포럼 연계 비즈니스 상담회'를 개최해 농수산물 가공, 물류, 에너지‧광물 등 현지 협력수요와 연계한 진출 교두보를 공고히 할 예정이다.
인프라 개선 등을 통해 정부 주도로 경제개발을 서두르고 있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우리 기업의 진출기회도 적극 모색한다. CIS지역 제2의 수출대상국인 우즈베키스탄에 '플랜트 수주지원센터(5월)'를 설치해 중앙아시아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거점으로 삼을 예정이다.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등 석유의존도가 높은 국가에서도 도로, 농업 등을 중심으로 비석유분야 진출기회 확대 및 프로젝트 수주가 가시화되고 있다.
제조업 육성정책, 기술협력, 한류 등 현지 시장수요를 활용에도 역점을 둘 계획이다. 올해 우리나라가 주빈국인 러시아 최대 예카테린부르크 산업전시회의 한국관(7월, 모스크바)에는 우리기업 100개사 참가해, 러시아 정부의 제조업 육성 정책으로 현지 제조사들의 우리 상용화 기술에 대한 높은 협력수요에 대응할 예정이다.
한편, 모스크바 한류박람회에는 국내외 450개사, 참관객 1만명이 참가해, 한류와 우리 소비재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