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비핵화' 첫 제스처…'폭파 공개'로 선전 극대화

2018-05-13 18:25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행사 의미…한·미 정상회담에 체제보장 메시지
영변때 흉내만…국제사회 의심 불식

[사진=연합]

북한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기하는 행사를 진행할 것이라는 '통 큰 액션'으로,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를 두고 '세기의 담판'으로 불리는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신뢰 조치의 첫 발을 내딛는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완전한 비핵화'의 첫 시동···美에 '메시지'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는 4·27 판문점선언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약속한 것이다. 그 약속을 이행하는 것으로 비핵화의 첫 시동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는) 북한이 미국에 보내는 메시지가 아닐까 한다"며 "완전한 비핵화에 대해 1차 행동을 할 경우, 미국도 체제보장에 대해 선의의 조치를 취하기 바란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조건없이 선행적으로 핵실험장을 폐기하는 것이, 비핵화 의지와 함께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북한의 자세를 시사하는 것이란 해석이다.

특히 북한이 발표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시점이 23~25일이란 점에서, 오는 22일(워싱턴 시간)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까지 고려한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23~25일···정치적 고려 반영돼

한·미 정상회담이 현지시간으로 22일(한국시간 23일) 열리는 만큼, 23일 풍계리 핵실험장 폭파가 단행될 경우 한·미 정상 회담과 맞물린다는 것이다.

양 교수는 "북한의 조치에 한·미 정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나아가 미국이 북한의 체제 보장에 대해 우리와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실제 위성사진을 통해 바라본 북한 풍계리 일대에서는 지난주부터 전선이 철거되는 모습이 포착됐다. 또 주변 인력도 확연히 줄어든 모습이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으로서는 핵실험장 폐기를 준비해 왔고, 적절한 시점을 고려했을 것"이라며 "시점은 정치적인 고려가 있다고 봐야 한다. 한·미 정상회담에 즈음해 이것을 폭파함으로써 선전효과를 극대화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 왜 폭파 '의식'이라 표현했나

북한은 외무성 공보에서 갱도 폭발을 통한 핵실험장 폐쇄 의식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북한이 굳이 '의식'이란 표현을 쓰면서 핵실험장 폐쇄를 강조한 것은 국제사회에 진정성을 보여주기 위한 제스처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특히 2008년 무용지물인 영변 냉각탑 폭파 때처럼, 폭파 흉내만 냈다는 비판을 일축하기 위한 의도라는 것이다.

양 교수는 "결국 완전한 비핵화의 첫 단계일 뿐 아니라, 국제사회의 의심을 완전히 불식시키겠다는 차원"이라며 "국제기자단도 초청하는 등 상징성을 보여주는 차원에서 '의식'이라는 표현을 쓴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 초청 미지수···생중계 없다

북한은 남북정상회담 이후,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와 관련해 직접 전문가를 초청하겠다고 발표한 바는 없었다. 그러나 북한측 의지를 전달받은 우리 정부를 통해 전문가 그룹도 초청될 것으로 전망돼 왔다.

이에 따라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행사에 국제원자력기구(IAEA) 관계자 등 전문가 참여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백악관은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행사 일정발표에 환영 입장을 밝히면서도 "국제전문가에 의한 사찰 및 충분한 검증이 이뤄질 수 있는 폐쇄가 북한(DPRK) 비핵화의 핵심조치"라고 전했다.

한편 북한이 국제취재단이 핵실험장 갱도폭발 등 폐쇄 과정을 지켜본 후, 원산으로 돌아와 취재 내용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한 만큼, TV 생중계나 실시간 보도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풍계리와 원산이 직선거리로 200㎞ 이상 떨어진 점을 고려하면 전세계 시청자들이 실제 폭파 장면을 볼 수 있기까지 여러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