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최고위급 직접 접촉 주인공은 김정은-폼페이오
2018-04-18 17:04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극비리에 진행된 북·미 간 최고위급 직접 접촉의 주인공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지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포스트(WP)는 북·미 정상회담 준비를 총괄해온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지명자가 지난 부활절 주말(3월 31일∼4월 1일) 북한을 방문했다고 17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북·미가 “최고위급 직접 대화를 진행했다”고 밝혀 궁금증이 증폭된 바 있다.
폼페이오 지명자 전에 마지막으로 북한의 최고 지도자를 만났던 사람은 2000년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 당시 북한 국방위원장을 만났던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이다. 때문에 이번 방문은 무려 18년 만에 미국의 정부 고위급 인사가 북한 지도자를 직접 만난 사례가 된다.
폼페이오 방북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CNN에 "김 위원장은 풍채가 좋고 회담에 잘 준비되어 있었다”고 말했다. 다만 북·미 정상회담 장소 선정은 난제였다고 덧붙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김 위원장과의 직접 대화가 “진행 중”이라고 전해 양국의 물밑 접촉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방북 후인 12일 상원 외교위원회의 인준 청문회에 출석했던 폼페이오 지명자의 발언도 새삼 눈길을 끈다. 당시 방북 사실을 함구한 그는 "(김 위원장은) 북한 핵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으로 포기하는 것을 다룰 (북·미 정상)회담에서 북한 정권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조건을 어떻게 내놓을까에 집중하고 있을 것이다. 그는 (체제 안전을 약속하는) 종잇조각 보증서 이상의 것, 지난 수십년간 아무도 가능하리라 믿지 않았던 북한 비핵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조건들을 어떤 묶음으로 미국에 제시할지 찾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김 위원장과의 대화 결과를 반영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아울러 폼페이오 지명자는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지도자는 합의 도달이 가능한지를 결정할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며 "나는 미 행정부가 그것에 대한 조건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고 낙관한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을 전격 수락한 뒤 국무장관과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직에 각각 폼페이오와 존 볼턴 등 대북 강경파를 임명하면서 일각에서는 북·미 회담이 난항을 겪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7일 "일이 잘 안 풀려 우리가 회담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며 "우리는 우리가 취해온 매우 강력한 이 길로 계속 나갈 것“이라며 북한에 대한 압박을 늦추지 않았다. 이후 가디언 등 일부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불발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고 보도했지만, 폼페이오 장관 지명자의 방북 소식이 알려지면서 회담에 관한 트럼프 대통령의 낙관적 발언들이 더 주목받는 모양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 “나는 상당한 호의가 있다고 진심으로 믿는다”면서 “늘 말하지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지켜보자.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결국 결과이기 때문”이라며 낙관론에 무게를 실었다.
한편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옆에는 아베 총리가 함께했다. 미·일 양국은 이 자리에서 북한 문제와 관련 완전히 일치된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NHK 등 일본 매체들은 이날 두 정상이 완전하고 불가역적이고 검증 가능한 북한의 핵포기라는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최대한의 압력을 가해 나갈 것임을 확인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을 만나 일본인 납북 문제를 언급할 뜻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다만 일본 내에서 급변하는 한반도 상황에서 일본의 목소리가 배제되는 ‘재팬 패싱’의 불안감은 여전하다. 아베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깜짝 북·미 회담 수락 후 부랴부랴 미·일 정상회담을 추진하면서 외교적으로 낙오되지 않겠다는 의도였으나 이날 확인된 미·일 대북 압박 공조는 최고위급 북·미 접촉 보도에 가려져 크게 조명되지 않고 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미·일 정상회담에서 일본이 요구하는 미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재가입에 난색을 표하는 등 양국이 무역 부문에서 입장차를 확인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