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특집 인터뷰 ②] "장벽 낮춰 더 안전하게...유학생, 한-베트남 가교로 지원해야"
2018-03-22 00:00
주한 베트남대사관 무역대표부 팜칵뚜엔 상무관 인터뷰
"각종 안전장치 통해 외국 투자자·사업자 보호 환경"
"개선해야 할 점 많지만 '포스트 차이나' 평가 다수"
"유학생은 미래 한-베 가교 역할...지원하면 결국 도움될 것"
"각종 안전장치 통해 외국 투자자·사업자 보호 환경"
"개선해야 할 점 많지만 '포스트 차이나' 평가 다수"
"유학생은 미래 한-베 가교 역할...지원하면 결국 도움될 것"
한국과 베트남은 지난 1992년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한 이후 26년간 다양한 경제 협력 관계를 맺으면서 상호 교역 규모가 128배로 급성장했다. 지난 16일 베트남 경제 전반 현안을 담당하고 있는 주한 베트남대사관 무역대표부의 팜칵뚜엔 상무관과 만나 '포스트 차이나'로 일컬어지는 베트남과의 관계 확장을 위해 필요한 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 "각종 제도 통해 사업상 안전장치 제공...'포스트 차이나' 평가"
베트남에 대한 투자가 늘고 한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양국에 체류하고 있는 교민 수도 각각 15만명을 훌쩍 넘어섰다. 한국 교민들은 대체로 사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처음에는 경제를 매개로 베트남에 관심을 가지지만 양국 간 비슷한 문화 환경에 적응이 수월하다는 장점이 작용한다. 무엇보다 일종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다른 나라와의 차별점이라고 팜칵뚜엔 상무관은 지적한다.
한국과 베트남은 그동안에도 긴밀한 경제 협력이 이뤄졌다. 그러나 한·베 FTA 합의에 따라 일종의 안전장치가 추가적으로 마련됐다는 것이 팜칵뚜엔 상무관의 설명이다. FTA 합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업체가 법적 보호를 요청할 수도 있어 베트남 내 사업을 원만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유학생, 한-베트남 가교 역할 가능...지원 효과 기대해도"
"현재 한국에 머물고 있는 베트남인들은 16만명 정도 됩니다. 대부분 이주 여성과 근로자들이지만 한국으로 유학오는 학생들도 적지 않습니다. 수년간 수학해야 하는 석·박사 유학생들은 결혼했을 경우 육아를 위해 부모와 한국에 동반 체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활 수준이 열악할 수밖에 없죠. 한국 정부가 다문화 가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알고 있지만 유학생에 대한 지원책도 강화됐으면 합니다.
약 30~40년 전 예전 지도자들은 러시아와 서구 국가 쪽에서 많이 유학하셨잖아요. 그분들이 대부분 현재 베트남 지도자로 활동하고 계시거든요. 이제 젊은 학생들은 미국과 호주, 영국 등 유럽, 한국과 일본 등 유학을 목적으로 선호하는 국가가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유학생들은 대부분 자기가 유학했던 국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요. 사실 가난한 시절 도움을 준 국가라면 시간이 지나도 고마운 마음이 계속됩니다. 10~20년이 지나 한-베트남 경제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