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석규의 대몽골 시간여행-157] 오이라트는 어떻게 등장했나?
2018-01-29 09:31
북원의 마지막 대칸을 살해하고 칸의 자리에 오른 인물은 쿠빌라이와의 대권 다툼에서 패했던 아릭 부케 가문 출신이다. 이수데르라 부르는 이 인물은 오이라트의 지지를 등에 업고 칸의 자리에 올랐다. 이때가 1388년으로 아릭 부케가 형 쿠빌라이에게 항복한 지 124년만의 일이었다.
동시에 아릭 부케를 지지하며 형제간의 전쟁에 참여한 후 백여 년 동안 사라졌던 오이라트도 이 때 역사무대에 다시 등장하게 된다.
▶나이만 진영에 가담 첫 등장
▶칭기스칸 가문과 혼인 인연
오이라트의 서북쪽은 주치家, 동남쪽은 툴루이家, 서남쪽은 오고타이家와 차가타이家가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역사에 등장하는 오이라트 여인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이 오굴 카이미슈다. 그녀는 오이라트의 왕이었던 쿠투카 베키의 딸이었다.
▶아릭 부케 진영에 가담
오이라트는 이후 쿠빌라이와 아릭 부케 형제사이의 대권다툼 때 아릭 부케 편에 서서 전투에 참여했다. 이 때 역시 오이라트 지역이 아릭 부케의 영지에 포함돼 있었기 때문에 불가피한 선택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쿠빌라이 시대가 들어서면서 오이라트는 거의 역사 속에서 사라져 버린다.
원사(元史)에 남긴 기록이라고는 쿠빌라이에게 반기를 들었던 카이두의 진영에 가담해 쿠빌라이 군대와 싸웠다는 정도이다. 쿠빌라이 시대들어 거의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하던 오이라트가 이제 역사 무대의 전면에 다시 나타난 것이다.
▶東西몽골 대립 시작
쿠빌라이 가문이 몰락한 이 시기에 동몽골 지역도 오이라트도 각자 내부에서 권력 이양을 위한 변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1399년에는 오이라트의 수령 우게치가 쿠빌라이 계통의 칸을 제거함으로써 동서몽골의 대립도 시작됐다.
짧은 기간에 권력이 시계추처럼 왔다 갔다 하는 혼란의 시기가 10여 년 간 이어진다. 하지만 동서 몽골의 사정에는 차이가 있었다. 서몽골의 오이라트는 때로는 동몽골에 대항하기 위해 중국의 명나라와 손을 잡기도 하고 때로는 명나라와 맞서기도 하면서 자체 세력을 다져 나갔다.
그러나 칸의 자리는 여전히 칭기스칸 가문의 인물로 이어졌다. 오이라트의 수령들이 연합해 적당한 인물을 추대했기 때문이다.
▶오이라트인 칸에 오르지 못해
오이라트의 지도자는 칸이라는 직위대신 타이시(taishi), 즉 태사(太師)라는 호칭을 사용했다. 이 호칭은 몽골제국 시대 국군총사령관을 부르는 이름에서 기인한다. 비록 권력을 장악했다하더라도 오이라트인은 칭기스칸의 직계 자손이 아니기 때문에 칸의 자리에 오를 수 없었다. 설령 스스로 칸의 자리에 오른다고 해도 몽골의 유목민들은 그를 칸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이를 칭기스 통원칙(統原則: Chinggisid Principle)이라 부른다. 1416년 오이라트의 지도자 마흐무드가 죽었다. 그리고 그 자리는 아들인 토곤이 이어 받았다. 토곤 태사(太師)의 등장으로 오이라트는 몽골 고원의 주도권을 완전하게 장악하게 된다.
▶明, 칭기스칸 후예의 부활 견제
따라서 명나라는 칭기스칸 가문의 부활을 막기 위해 틈틈이 오이라트를 도아 왔다. 특히 영락제는 동몽골을 공격하기 위해 오이라트의 세 수령, 즉 토곤의 아버지인 마흐무드와 타이핑, 바투 볼라드라는 세 인물에게 왕작을 내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