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AI 기술 활용 사이버범죄 기승...가상화폐 노린 랜섬웨어 위협 여전
2018-01-03 17:00
보안업계가 올해 주요 보안 위협으로 '인공지능(AI)'과 '랜섬웨어(Ransomeware)'를 꼽고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경고하고 있다. 국내 AI 산업이 상용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는 데다가, 가상화폐 광풍에 편승한 해커들의 사이버 범죄가 기승을 부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3일 글로벌 보안업체 포티넷코리아에 따르면, 2018년은 AI 기술을 탑재한 개인·금융 정보에 접근하는 온라인 기기들이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사물인터넷(IoT) 장치를 비롯해 자동차, 주택, 사무실의 핵심 인프라부터 스마트시티까지 모든 요소들이 연결돼 사이버 범죄의 새로운 타깃이 될 것이라는 경고다.
사이버 범죄자는 AI 기술을 다중·벡터 공격 방법에 적용해 클라우드 환경 취약점을 검색·탐지·악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높다. 예컨대 '기계학습(머신러닝)'을 활용한 악성코드가 등장하고, '다크웹(Dark Web)'에서는 자동화를 활용한 새 서비스가 나온다. 공격자는 유료 분석 서비스를 기계학습을 통해 즉시 코드를 수정하고, 사이버 범죄 침투툴을 감지할 수 없도록 만드는 등 AI를 활용해 탐지를 회피하는 방식이다.
또 지난해 전 세계를 공포에 몰아놓은 랜섬웨어 역시 보안이 취약한 가상화폐 거래소 공격 등 금전을 노린 다양한 사이버 범죄가 빈번할 것이라는 분석도 높다. 최근 가상통화 거래소 ‘유빗’이 해킹 공격으로 170억원의 손실을 입고 파산했듯이 비트코인 거래나 사용자의 비트코인 지갑을 노린 범죄가 빈번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안랩은 올해 사이버 범죄 조직이 개발·판매·유통·마케팅까지 세분화된 기업(조직)의 형태를 갖추고, 수많은 신·변종 랜섬웨어가 등장할 것으로 관측했다. 매출 증대를 노린 랜섬웨어의 다음 목표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및 기타 상업 서비스가 될 수 있다는 것. 즉 사이버 범죄자들은 잠재적으로 수백, 수천 개의 기업 및 수백만 명의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중단시킬 수 있다는 얘기다.
보안 업계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사이버 공격 피해에 대비한 보험제도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면서 "침해의 피해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해외 선진국 사례를 참고한 국내 보험제도 마련 및 개선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정부는 랜섬웨어 등 신종 사이버 범죄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사이버 보안 연구개발(R&D) 예산을 늘리고 있다. 과학기술정부통신부에 따르면 올해 사이버 보안 R&D 예산안은 617억원으로 올해 546억원보다 13% 증가한 규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