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빛과 바람 그리고 바다가 만드는 친환경 에너지도시 인천시
2017-11-16 11:03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20%이상 공급… 4차 산업혁명 기반
인천시(시장 유정복)는 2021년부터 시행되는 파리 기후변화협정 신기후체제를 체계적으로 이행하고 신정부의 탈원전, 탈석탄화력 정책 등 에너지정책 변화를 효과적으로 이끌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20%까지 확대한다.
단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도개선 및 단지 조성 등 사업기반을 확고히 하고 이를 토대로 사업영역 및 규모의 확대를 진행해 나감은 물론, 장기적으로 사업추진경험 및 성과를 바탕으로 첨단ICT,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이 융합되는 미래도시 모델과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하는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도시 인천을 만들어간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발표한 에너지신산업전략을 확대 재편하여 신․재생에너지 분산전원의 양적확대와 그동안 제도적 미흡으로 지지부진했던 해상풍력, 조류발전 등 대규모 프로젝트사업, 연료전지사업을 주력해 나갈 계획이다.
연간 전력생산량은 80,045GWh에 달하며 이중 40%는 인천에서 소비하고 나머지 60%는 수도권으로 공급하고 있다. 전국발전량의 11%를 담당하는 수도권에너지 허브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인천지역의 용도별 에너지사용분포를 보면 산업체에서 50.6% 서비스업에서 28.7%, 가정에서 16.0% 공공용으로 3.7%, 농어업등 기타용으로 1%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인천시민 한사람은 가정에서 하루 3.6kWh의 에너지를 소비함으로서 특․광역시 평균 3.1kWh 보다 16%높은 소비율을 보인다.
인천시 에너지 사용량은 지난 10년간 국제경기침체에 따른 저성장 기조속에서도 연평균 2.4%씩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기준년 대비 26.9% 증가세를 나타내며 특․광역시 평균 21.3%보다 수요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수립중인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반영되어 전력수요전망치가 다소 낮게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나 시는 앞으로 도시구조가 스마트시티로 진화하고 , 4차산업 혁명기로 진입이 가속화 될 경우 생활, 산업, 서비스, 수송 등 전 영역에서 에너지 의존도는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인천시의 태양에너지 잠재량은 191GW, 해상풍력, 조류에너지의 경우 인천 경기해역을 합해 각각 11GW, 18GW로 총 220GW에 달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를 연간 발전량으로 환산하면 450,000GW로서 전국에너지 사용량의 63%에 달하는 엄청난 에너지다.
특히 근해에는 세계적으로도 찾아보기 힘든 조류 등 풍부한 해양에너지자원과 대초지도, 덕적도 외해의 풍력자원은 3MW급 이상 저풍속발전기가 개발되면서 국․내외 대형 발전사업자들에게는 매력적인 사이트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신재생에너지 보급용량은 392MW, 연간발전량 867GW 수준으로 연간사용량 32,024GW 대비 2.7%에 그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종류별 구성비율을 살펴보면 바이오에너지가 59%로 가장 많고 풍력 12%, 태양광 11%, 폐기물 10%, 연료전지 4%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시는 공공청사 및 사회복지시설,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지원사업, 융․복합 사업을 추진하여 총사업비 498억원을 투입하여 태양광, 풍력, 소수력, 연료전지 등 총 9.9MW, 태양열 6,240㎡ 규모의 설비를 구축하였고, 주택지원사업, 소형태양광 보급사업 추진을 통해 총2,547가구에 태양광, 태양열, 지열, 연료전지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보급하여 왔다.
그러나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를 20%로 대체하기 위해서 지자체 위주의 공공투자, 보조사업 지원정책 만으로는 천문학적인 사업비용을 조달할 수 없는 만큼, 민간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개발이 무엇보다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는 우선 공공건축물, 교육기관의 지붕등 유휴부지는 지역지원사업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민간건축물 또는 이용 가능한 유휴 부지를 활용한 민간발전사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 현재까지 발전사업자에게 100kW 이하 최대 1억원 한도로 융자지원 하던 것을 2018년부터는 지원규모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한국전력공사 인천지역본부, 농어촌공사, 지역발전사업자등 기관간 협업을 통해 강화길상 저수지 수상태양광 500kW 개발 사업에 이어 저수지 수상태양광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제도개선을 통해 관내 유수지활용 방안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관련하여 시는 신재생에너지사업 보급 중장기 종합계획수립 용역을 통해 중장기 마스터 플랜수립과 추진로드맵을 구축 중에 있다.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산업체를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와 첨단 ICT기반의 에너지 저장 관리기술을 융합한 스마트에너지팩토리를 조성한다.
인천시에는 현재 13개 산업단지 9,922개업체가 가동 중이다. 산업단지의 면적은 21,116천평방미터로서 산업단지 면적의 1%만 태양광설비를 도입해도 30MW에 달하는 설비를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는 태양광발전의 부지확보 문제를 산업단지를 통해 해결하자 산업부와 면밀히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사업모델은 산업체 직접투자에 의한 태양광발전사업, 공장에너지 효율화 사업, 공장형 건물지원사업으로 나뉘며 우선 2018년부터 2020년까지 1단계로 시범사업을 통해 산업단지 면적의 1%를 태양광발전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관리시스템(EMS)등 산업에너지 효율극대화를 추진하고, 이후 자발적 확산단계로 산업단지별로 ‘스마트에너지컴플렉스’를 조성해 나감으로서 산업 경쟁력도 함께 갖춰 나갈 계획이다.
그동안 산업단지 내에서는 노후시설로 인한 추가비용증가로 사업자들이 회의적 반응을 보여 왔으나 한시적 REC 가중치 상향등 지원제도의 개선이 이루어 질 경우 사업 확산이 이루어 질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3개 내연발전도서의 주민에너지 복지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한다.
2025년까지 문갑도, 울도, 굴업도 등 소규모 섬은 100% 탄소제로섬으로 구성하고, 자월도 승봉도 등 중규모 섬들은 60% 에너지 자립 섬으로, 백령도 등 대형 섬들은 25% 에너지 자립 섬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대규모 해상풍력이 가시화될 경우 그동안 추진이 어려웠던 영흥~ 덕적도 간 전력계통 연계도 함께 검토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대초지도와 덕적도 외해에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를 확대 추진된다.
그동안 답보상태에 있던 ‘인천해상풍력발전단지 계획’이 신재생에너지 관련법률 개정,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 상향 등 제도개선가시화 됨에 따라 앞으로 급물살을 탈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빠르면 금년 11월부터 ㈜한국남동발전과 풍황 등 사전조사를 착수하고 기존 대초지도 300MW급 단지조성 뿐만 아니라 추가로 덕적도 외해를 대상으로 300MW 해상풍력사이트를 발굴할 계획이다
또한 여타의 신재생에너지 자원에 비해 예측가능하고 높은 밀도의 에너지원인 해양에너지 분야도 기술적, 제도적 장치 미흡으로 현재 답보상태에 있으나, 중앙정부와 긴밀한 협의 하에 시범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