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국감] 부동산 P2P 잠재 리스크↑…관리 강화해야
2017-10-17 08:28
8월 기준 1조6741억원으로 2016년 12월말(6289억원) 대비 166%(1조 452억원) 증가
부동산 담보를 기반으로 하는 P2P대출이 급성장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부동산 가격 버블의 원인으로 P2P금융의 과도한 주택담보대출이 지적되는 만큼 이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잇따른다.
금융감독원이 17일 박찬대 의원에 제출한 ‘P2P부동산 대출시장 현황’ 자료에 의하면 P2P누적대출액은 올해 8월말 기준 1조 6741억원에 달한다. 이는 2016년 12월(6289억원) 대비 166.2%(1조 452억원) 증가한 것으로 불과 8개월 새 1조원 이상이 불어났다.
P2P 업체수는 2016년말 125개에서 2017년 8월말 172개로 47개사가 더 생겼다. 이 가운데 한국P2P금융협회에 등록한 회원사는 54개사다. 대출 종류별로는 부동산 PF, 신용, 부동산 담보, 기타 담보를 망라해 모든 종류의 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국내 부동산 P2P 대출 규모는 중국처럼 부동산 버블현상을 촉발할 만큼 우려할 정도는 아니지만 사회적 현상을 봤을 때 리스크가 커질 잠재적 위험이 존재한다.
주택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중이 매년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고 일자리 부족과 고령화 사회로 들어서며 주택으로 수익을 영위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고 있기 때문이다.
박찬대 의원은 “다주택담보대출자들의 과도한 대출을 효과적으로 규제하기 위해서는 P2P대출의 성장세도 주목해야 한다”며 다만 “부동산 P2P대출이 사회초년생이나 저소득층에게 상대적으로 개선된 주거공간을 마련해줄 수 있는 긍정적인 기능도 있는만큼 P2P대출의 안정적 확대와 투자자 보호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함께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