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석규의 대몽골 시간여행-57] 인간 칭기스칸의 매력은? ②
2017-09-29 11:26
카르피니가 소개한 졸다가 깨어나 스스로 죄를 고하고 처형당한 몽골군 보초의 얘기는 푸른 군대가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가운데서도 실질적인 규율과 권위가 얼마나 살아 있었느냐 하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다. 마음과 귀를 열어 놓고 위에서부터 말단에 이르기까지 자유로운 교류를 가능케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칭기스칸은 자기 주변에 많은 사람을 끌어 모을 수가 있었다.
자신에게 싫은 소리를 하는 사람을 기피하고 편한 사람만 상대하는 군주는 올바른 판단과 행동을 하기가 어렵지 않겠는가?
▶ 자발적인 충성과 희생 낳은 인간관계
칭기스칸은 많은 사람과 상대하며 그들과의 원활한 소통으로 인간관계를 만들어 왔다. 그렇게 맺어진 인간관계는 아랫사람들의 자발적인 복종과 희생을 불러왔다. 칭기스칸이 마주친 숱한 위기의 순간을 벗어나는 데 이들의 충성과 희생이 큰 힘을 발휘했다.
▶ 측근의 충성 보상, 돌출행동 나타나지 않아
군주에 대한 충성과 희생이 맹목적인 것이 되거나 나중에 충성을 담보로 보상을 추구할 때 나타나는 폐해가 엄청나다는 것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역사 속에서 숱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칭기스칸에 대한 너흐르들의 충성과 희생은 마음에서 우러나온 것으로 지도자에 대한 믿음을 바탕에 깔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칭기스칸이 사해의 군주로 우뚝 섰을 때도 이들은 그 동안의 충성과 희생에 대해 보상받기 위해 돌출행동을 하지도 않았다.
▶ "눈에 불이 있고 얼굴에 빛이 있다"
칭기스칸의 성격가운데 또 하나 두드러진 면은 친화력이다. 이 친화력은 주위에 사람을 모이게 하는 큰 요인이 됐다. 이 친화력의 밑바닥에는 사람의 귀천을 가리지 않는 평등의식이 깔려 있다. 칭기스칸의 용모에 대해서는 키가 크고 건장했으며 고양이와 같은 눈을 가졌다는 것과 눈에 불이 있고 얼굴에 빛이 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 첫 대면에 사람을 끄는 친화력
도둑맞은 말을 찾아 초원을 헤매던 테무진을 처음 만난 보르추는 그의 첫 인상에 호감을 갖고 안다 관계를 맺은 뒤 잃어버린 말을 찾아 밤낮으로 초원을 함께 돌아다녔다. 예수게이가 죽은 뒤 씨를 말려 후환을 없앤다는 생각으로 테무진을 붙잡았던 타이시우드족의 족장 키릴툭은 테무진을 본 뒤 본래 의도와는 달리 그를 죽이지 않고 포로로 살려두었다. 포로 생활을 하다 목에 칼을 쓰고 탈출했을 때 소르칸 시라와 그의 아들들은 목숨을 잃게 될지도 모르는 위험을 무릎 쓰고 테무진을 구해줬다.
▶ 품에 들어온 사람 떠나는 법 없어
오직 칭기스칸에게만 충성하는 대규모 너흐르 집단을 만들 수 있었던 것도 거의 전적으로 이러한 칭기스칸의 성품과 능력에서 비롯됐다고 봐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