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기업 시대]③최태원 회장 "행복나래 펼쳐라"…될성부른 사회적기업 키운다

2017-08-09 18:48

[그래픽=김효곤 기자]


"사회적기업에서 기업이 추구해야 할 가치, 나아가 우리 모두가 꿈꾸는 '푸른 사회의 싹'을 보았다."

재계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사회적기업 전도사'로 통한다. 2014년 그의 저서 '새로운 모색, 사회적 기업'에서도 그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을 여실히 엿볼 수 있다.

◆'사회적기업 전도사' 최태원 회장, 생태계 조성에 박차

사회적기업에 대한 최 회장의 관심은 기업의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효과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시작됐다.

기업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대가 커진 환경 속에서 저마다 시행한 CSR 활동이 어떤 가치를 만들어내는지, 또한 사회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고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었다.

최 회장은 2009년 한 대학에서 열린 '사회적 기업 국제 포럼'에서 그가 갖고 있던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사회적기업을 통해 급격한 경제 성장기를 거친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기업 역시 이를 통해 CSR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생긴 것이다.

최 회장은 곧장 실행에 들어갔다. 사회적기업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사회적기업의 창업을 지원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SK그룹 계열사를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해 직접 운영하기도 했다.

최 회장과 SK그룹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이다. 이를 위해 최 회장은 2015년 사회성과인센티브제도(SPC·Social Progress Credit)를 도입했다. '착한 가치'를 창출한 사회적기업에 인센티브를 지원해 장기적으로 존속할 수 있는 경영환경을 조성하면 '착한 가치'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사회문제도 함께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따라 도입한 제도다.

도입 3년차를 맞이한 현재 사회성과인센티브제도는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제도에 참여한 기업은 도입 첫해인 2015년 44개에서 지난해 93개로 2배 이상 늘었다. 이들이 생산한 사회적 가치도 103억원에서 201억원으로 증가했다. 이 같은 성과로 SK그룹을 통해 받은 인센티브는 2015년 30억원에서 지난해 48억원으로 늘었다.

◆SK '행복나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 앞장

SK그룹은 사회적기업 생태계 조성에 힘쓰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사회적기업 운영에도 나섰다. 2010년 '사회적기업사업단'을 독립기구로 출범시켜 총 16개의 사회적기업을 설립했다.

이중 '행복나래'는 SK그룹 계열사를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한 케이스다. 행복나래의 전신인 MRO코리아는 SK그룹의 3000여개 협력사로부터 사무용품, 공구 등 총 20만개에 달하는 소모성 자재를 구입, 그룹 계열사를 비롯해 일반 기업에 공급했다.

최 회장은 2011년 MRO코리아를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하고 2012년 사명을 현재의 '행복나래'로 변경, 이듬해 고용노동부로부터 사회적기업 인증을 획득해 본격적인 운영에 나섰다.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한 후 행복나래는 사회적기업의 제품을 구매하는 비중을 높였다. 또한 직접적인 판로가 되기 위해 사회적기업을 협력사로 편입시키는 한편 이들 기업의 제품을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우선구매 제도'를 도입했다. 이 같은 노력으로 행복나래가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하기 이전 3개에 불과했던 사회적기업 협력사는 현재 200개 이상으로 늘었다.

물론 이 같은 성과를 내는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최 회장은 지난 6월 개최된 '2017 사회적기업 국제포럼'에서 "SK가 직접 설립한 사회적기업 중에는 사업이 잘 되지 않아서, 목표한 만큼의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내지 못해서 정리한 기업도 꽤 많다"며 "대기업도 성공하기 어려운데 여러분들은 더 훌륭한 일을 해낸 것이라 생각한다"며 사회적 기업가들의 노력에 존경을 표했다.

◆한국을 사회적기업 경영하기 가장 좋은 나라로

최 회장의 이같은 철학은 문재인 정부의 '더불어 잘사는 경제'와 궤를 같이하며 더욱 주목받고 있다.

지난달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 재계 총수들과의 만남 자리에서 최 회장이 일자리 창출의 대안으로 사회적기업을 제안하자 문 대통령도 큰 관심을 나타냈다.

최 회장은 이 자리에서 "사회적기업이 일자리 창출의 또 다른 하나의 대안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일자리 창출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투자하면 앞으로 상당히 각광받는 새로운 창업이 많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김동연 경제부총리에게 "사회적기업을 지원하는 관계법안을 정부가 적극 추진해보라"고 지시했다.

사회적기업 생태계 조성에 힘쓰고 있는 최 회장의 또 다른 목표는 향후 10년 안에 사회적기업의 경제규모를 정보통신, 보건복지 서비스와 견줄 수 있는 수준으로 높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GDP 대비 0.25% 수준인 사회적기업의 경제규모를 3% 수준으로 높이고 사회적기업 수를 10만개로 늘리는 것이다.

더 크게는 한국을 세계에서 사회적기업을 경영하기 가장 좋은 나라로 만드는 것이다.

최 회장은 "사회적기업의 경제규모가 3% 수준이 되면 보건복지, 정보통신 서비스에 견줄 수 있는 떳떳한 경제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된다"며 "이렇게 되면 누구나 사회적기업의 임팩트를 인정하게 될 것이고 사회적기업의 혁신이 사회 전체에 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