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위례신도시·용산공원'에 '도로공간 입체개발' 시범사업 추진된다

2017-07-26 15:11
LH, 복정역세권 개발사업 설계 공모...국토부에 도로공간 입체개발 시범사업 지정 건의
서울역, 경부선 철도 지하화 연계한 용산공원 일대 복합개발 용역 착수

‘복정역세권 스마트 입체복합도시’ 배치도 [이미지=한국토지주택공사(LH) 제공]


정부가 민간이 도로·철도 공간의 복합개발을 할 수 있도록 관련법 개정에 나선 가운데,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시가 위례신도시와 용산공원 부지에서 각각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나섰다. 

LH는 복정역세권 개발과 관련해 관통 도로를 지하화하고 지상에 창업지원센터 등을 짓는 청사진을 마련, 국토부에 도로공간 입체개발 시범사업 지정을 건의한 상태다. 서울시는 경부선 철도 지하화와 연계한 용산공원 일대 개발 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경부선 지하화에 따른 지상부지 개발 계획이 마련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H는 지난 12일 ‘복정역세권 스마트 입체복합도시 마스터플랜 수립용역 설계공모’를 공고했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위례신도시 택지개발예정지구 내 복정역세권 및 주변지역 일원 28만9000㎡ 부지에 도시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 입체복합도시 개발을 목표로 공식적인 설계공모에 착수한 것이다.

LH는 복정역세권의 업무·일반상업 용지를 총 6개 구역으로 단순화하고 민간투자 등을 받아 백화점과 쇼핑몰, 오피스 등 상업과 업무시설 및 주상복합 등 주거시설로 복합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송파IC 이설 계획노선 및 주변 완충녹지를 도로로 일원화하며, 해당 구간 지하화와 함께 입체 개발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지원시설과 전시장, 회의장, 주민 문화시설 등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서울시는 ‘경부선 지하화에 따른 용산공원 일대 구상’에 대한 연구용역을 오는 8월 실시할 계획이다. 용역비는 1억5000만원이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이번 용역은 시가 지난 3월 용역을 시작한 '용산 광역중심 미래비전 및 실현전략 수립' 연구에 추가되는 개념이다. 2억9000만원이 투입되는 이 연구는 중구 봉래동과 용산구 한강로 일대 약 349만㎡ 규모의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에 대한 포괄적인 개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용역은 △경부선 철도 지하화에 따른 용산공원 주변 변화 분석과 구상 △경부선 철도에 의한 동서지역 공간 단절 실태와 문제점 분석 △지하화에 따른 도시공간구조 영향 분석과 재편방안 등에 대해 다룬다. 시 관계자는 "특히 지하화에 따른 상부공간 개발 방향과 교통체계 개편에 대한 구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도로의 상하부 공간을 민자로 개발할 수 있도록 관련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도로를 지하화할 경우 지상부지에 일본 도쿄 롯폰기힐스 같은 복합개발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현행법상에서는 도로 부지의 지하와 상부 공간에 공공건물만 제한적으로 지을 수 있다. 국토부는 오는 2019년 도로 지하화로 인한 복합개발 시범사업이 성공할 경우 철도 공간의 입체개발에도 민간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위례 용산 도로공간 입체개발 시범사업 주요 내용 [그래픽=김효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