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노동유연성 없이 일자리 확대 없다"…유럽이 한국에 던지는 시사점
2017-06-27 09:50
"노동시장 유연성이 확보되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새 정부의 고용시책과 적극 발을 맞춰갈 수 있는데 일방적인 추진이 아쉽습니다"
얼마전 만난 한무경 여성경제인협회장은 문재인 정부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계는 노동 유연성이 담보되지 않은 정규직 확대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가뜩이나 고용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과 특히 시장 변화에 더욱 민감한 제조업들은 수시로 생산물량을 조절해야 하는 업계 특성상, 탄력적인 인력 운용이 힘든 정규직을 늘리는 것은 현실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정규직 전환을 급격히 추진하는 경우 국내 노동법상 평생고용으로 가야 하기 때문에, 요즘 같은 불황에는 증가하는 고정비로 경영현황이 악화되고, 호황기를 맞아도 비용증가 부담으로 신규투자와 고용을 확대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를 골자로 한 정부의 노동 정책을 놓고 갑론을박(甲論乙駁)이 여전하다. 일각에선 주력 사업이 아닌 업무의 경우 외부 전문업체에 아웃소싱하는 것이 전세계적인 추세인데,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정규직·비정규직이라는 이분법적 기준으로 접근하는 것은 사회 전체의 일자리를 감소시킬 위험이 높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로 한국의 노동시장 유연성은 세계 최하위 수준이다. 스위스 유니언뱅크(UBS)가 지난해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한 국가별 노동시장 유연성 순위를 보면 우리나라는 139개 조사대상 국가 가운데 83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기술 순위(23위)와 비교해보면 대조적이다.
유럽 국가들의 이런 모습은 ‘일자리 창출’을 핵심 국정과제로 내건 정부에 시사하는 게 적지 않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을 추진하면서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와 관련해 이렇다 할 방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
대다수 경제학자는 "정부 주도로 정규직화를 급격히 팽창시키면 취업의 문이 닫히게 되고 미래 고용 기회는 박탈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의 노동자에게만 주목하면 미래의 고용은 소외되기 때문이다."라고 조언했다. 비정규직을 무리하게 정규직화하면 임금 상승, 고용시장 경직 등 더 큰 부작용이 생길 것으로 경고하는 산업계와 같은 맥락이다. 좋은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정부가 두고두고 곱씹어봐야 할 대목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