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중국에 사드 관련 모든 제재 해제 촉구할 것" -로이터 인터뷰

2017-06-22 18:58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추가경정예산안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아주경제 이수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중국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더욱 큰 역활을 해야하며 미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차원에서 가해진 중국의 모든 제재를 철회할 것을 시진핑 주석에게 촉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다음 주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가진 로이터와의 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핵 이슈를 계속 최우선순위에 둔다면 한미가 북핵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북한이 '머지 않은 미래'에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핵 탑재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손에 넣게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하고 "북한이 ICBM을 시험 발사하거나 6차 핵실험을 강행한다면 강한 제재가 부과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이  "북한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을 해오고 있지만 아직 체감할 수 있을 만한 결과는 얻지 못했다"며 "중국이 북한 위기 해결을 위해 더 큰 역할을 할 여지가 더 있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또 다음 달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한국 기업인들이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와 관련해 중국에서 직면한 제재 조치를 모두 해제해달라고 시 주석에게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문 대통령은 또 “중국은 북한의 유일한 동맹이자 북한에게 대부분의 경제적 지원을 해주눈 국가"라며 "중국의 지원 없이는 제재의 효과가 전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과 중국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수도 워싱턴에서 외교안보대화를 열었다. 북한에 억류됐다 송환된 뒤 사망한 오토 웜비어 사건으로 미국 내 반북 감정이 고조된 상황에서 회담의 중심 의제는 역시 북한이었다. 이날 양국은 이전보다는 한 걸음 더 나아간 대북 제재에 합의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이날 미국 쪽에서는 렉스 틸러슨 국무부 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이 참석했다. 중국 쪽에서는 양제츠 외교담당 국무위원, 팡펑후이 인민해방군 총참모장 등이 함께했다. CNN은 "틸러슨과 매티스 장관은 이번 대화를 통해 지난 4월 양국 정상회담 이후 미국과 중국이 다시 긴밀한 외교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안보대화에서 중국은 한반도 사드 철회를 강력히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외교부는 22일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 측은 미국의 한국 사드 배치 반대를 재천명하고 유관 배치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철수하라고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중국 측은 한반도 비핵화, 한반도 평화와 안정 유지,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의 입장을 재차 확인하고 각자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전면적이고 엄격하게 집행해야 하며 조속한 대화 재개를 추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웜비어의 사망 뒤 미국에서는 북한에 대한 '보복'의 방법을 두고 여러 가지 추측이 나왔다. 일부에서는 미국이 독자적으로 강력한 제재에 나설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그러나 일단 이번 회담을 통해 미국은 중국에 대한 압박을 더욱 강화하는 방법을 택했다고 현지 언론들은 전했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회담 뒤 기자들에게 "중국은 미국이 북한을 최대 안보위협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동북아 지역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중국이 훨씬 더 강력한 경제적·외교적 압력을 북한에 행사해야 한다고 적극적으로 강조했다"고 말했다고 CNN은 보도했다.

미국과 중국 고위관료들은 이날 대화에서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재확인했다. 양국은 북한의 '완벽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핵 폐기라는 목표를 놓고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결정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 외신은 전했다.

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틸러슨 장관은 미·중 기업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대상에 오른 기업들과 거래하지 못하게 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중국이 북한 무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는 사실상 중국에 대북 압박 수위를 더욱 높이라는 주문을 한 것이라고 외신은 지적했다. 일부에서는 이번에도 중국발 제재가 여전히 효과를 못낼 경우 미국이 제재대상 북한 기업과 거래하는 중국 등 제3국 기업을 일괄 제재하는 세컨더리보이콧(2차 제재)에 나설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