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남북] 중국도 인구절벽 충격 피해갈 수 없다
2017-06-22 20:18
정철호 포스코경영연구원 상무보
세계 최대 인구대국인 중국에 인구절벽의 충격이 조용히 다가오고 있다. UN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생산가능인구는 우리나라보다도 2년 앞선 2015년부터 이미 감소세로 전환되었고, 2022년에 인도에게 세계최대 인구대국의 지위를 내어줄 전망이다. 심지어 2029년부터는 총인구 자체가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정부는 생산가능인구가 감소세로 전환된 2015년에 부랴부랴 ‘전면적 2자녀 정책’시행을 발표하였고, 2016년에 출생자 수가 전년비 7.9% 증가한 1786만명을 기록하자 정부당국에서는 2000년 이래 16년 만에 연간 최대치라고 기뻐하며 정책의 성공을 낙관하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인구문제는 간단하게, 그것도 짧은 시간 내에 해결하기 어렵다. 우선 2016년부터 출생자수가 늘어난다고 해도, 그들이 생산가능인구로 편입되기까지는 15년의 시간이 필요하다.
결국 인구 감소 및 고령화에 대한 대응은 장기 프로젝트이며 향후 5~10년은 기반구축 단계로서 큰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그렇다면 중국경제는 인구절벽으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게 될까? 중국은 GDP 규모는 세계 2위이지만, 1인당 GDP는 8481 달러(IMF 2017년 전망치)로 세계 74위에 불과하다. 소득이 낮은 상태에서 노후대비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면 가계소비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
중국의 인구구조 변화는 특히 건설과 자동차, 철강 등의 산업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중국의 연령별 주택구매자 조사결과에 따르면 25~44세가 구매자의 75%를 차지하며, 자동차의 주력구매층 역시 25~44세로서 전체의 85.5%를 차지한다.
그러나 25~44세 인구는 향후 계속 정체되는 반면, 55세 이상의 고령층 인구는 급속히 증가할 전망이다. 2024년부터는 55세 이상 인구가 25~44세 인구를 추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주택과 자동차의 주력구매층 인구가 정체되면서 이들 산업의 수요는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건설과 자동차는 철강의 핵심 수요산업이므로 철강산업도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중국의 수요산업별 철강소비 비중은 건설업이 무려 57.3%, 자동차가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이 중장기적으로 인구절벽의 충격을 피해갈 수 없다면, 우리 기업들로서는 어떤 전략을 갖고 중국시장에 접근해야 할 까?
첫째, 보다 신중하고 보수적인 접근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인구구조 변화를 감안할 때 중국의 중장기 전망을 낙관적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잠재성장률은 노동투입, 자본투입, 총요소생산성의 3요소로 구성되는데, 중국은 현재 과잉투자와 과잉부채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있어 자본투입을 늘리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노동투입이 감소세로 전환되면서 잠재성장률은 하락세를 보일 수밖에 없다.
둘째로는 중국 사업장에서의 노사관리 강화가 중요하다. 중국에서는 이미 임금의 급등현상이 나타나고 있을 뿐 아니라 노사분규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사드를 둘러싼 한·중간 갈등으로 한국기업을 바라보는 중국정부의 시선도 곱지 않다. 노사문제로 흠이 잡히지 않도록 공회관리 등에 각별히 유념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로 역발상의 관점에서 중국에서 열리는 실버마켓의 기회에도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에 따라 실버타운, 의료 및 바이오사업, 노인용 소비재 상품 및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사업기회가 존재할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중국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시각으로 접근해서는 결코 안되며, 중국의 변화를 앞서 내다보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기업이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