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중고차 직거래와 문재인의 재벌 개혁

2017-06-16 08:40
- 투명한 정보공개와 지배구조는 반드시 수익으로 돌아와

 



아주경제 김창익 기자 = 고가 수입차는 중고차 감가상각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1억원에 육박하는 폭스바겐 페이튼 3.0TDI의 경우 3년 5만km 내외의 매물은 3000만원 대에 구매가 가능하다. 같은 조건의 현대차 베라크루즈 300VXL 모델과 중고차 가격이 거의 같다. 베라크루즈의 신차가격은 페이튼의 절반 정도다.

왜 이럴까?

중고차에 대한 정보를 모르는 구매자는 높은 가격을 지불하려고 하지 않는다. 시장 가격은 혹시 모를 고장 수리에 대한 잠재 비용이 제로(0)가 될 때까지 낮아진다. 페이튼 중고차를 구매할 때 미션 수리가 임박했다고 생각한다면 구매자는 수리비만큼 깎아서 중고차를 구입하려고 한다. 고가 수입차일수록 위험부담이 커 가격을 낮추려고 하는 욕구가 강해진다.

모든 정비를 마친 품질좋은 중고차 판매자는 시장가격으로 팔 경우 손해를 보게 된다. 이렇게 품질이 좋은 중고차가 시장에서 사라지는 비효율을 설명한 게 정보비대칭의 역선택 이론이다.

품질이 좋은 중고차를 제 값을 받고 팔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노벨경제학 수상자 스펜스는 중고차도 새차처럼 무상AS를 해줄 경우 역선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탁상론이다. 개인의 경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더 좋은 방법이 있다. 팔려는 중고차 정보를 100% 공개하는 것이다. 정보비대칭을 본질적으로 해결하는 정면 승부다. 이상론 같지만 이미 현실이다. 

각종 자동차 동호회 카페에 들어가면 열성회원들은 자신의 애마(자동차 애호가들은 차를 이렇게 부른다)에 대한 각종 히스토리를 꼼꼼하게 기록하고 공개한다. 구입계기와 시기, 오일과 브레이크 디스크 등 각종 소모품 교체 내역과 주기, 사고와 고장 내역, 그에 대한 수리 내용, 각종 튜닝 내역, 심지어 세차 주기와 용품까지 빠짐없이 거의 실시간으로 공개하는 것이다.

고장과 사고 히스토리를 공개하면 나중에 중고차를 팔 때 불리할 것 같지만 현실은 반대다. 동호회 활동을 통해 해당 차의 히스토리를 상세히 알고 있는 구매자는 그 차를 신뢰하게 되고 품질에 상응하는 가격을 기꺼이 지불한다. 회원들 중에는 자동차 메이커들이 추천하는 교환주기보다 훨씬 자주 소포품을 교체하는 병적(?) 관리자들이 많다. 오일도 국산보다 두세배 값이 비싼 수입 프리미엄급만 쓴다. 이런 차들은 구매자들의 제1 타깃이 되고 3차 거래에서 심지어 웃돈이 붙는다.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생기는 이익은 기업 경영에도 적용된다. 재무상태 등 기업핵심 정보를 상세히 공개하면 세금부담이 늘고 경영상 피해를 볼 것 같지만 장기적으로는 그 반대다.

불투명한 기업경영이 빌미가 돼 각종 정치자금 등 준조세의 부메랑이 돼 돌아온다. 이로 인해 기업오너가 재판을 받고 최악의 경우 감옥에도 간다. 소비자들도 투명한 기업의 상품을 신뢰하게 되고 그 것은 매출증가로 반드시 이어진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기업의 지배구조 투명화는 해당기업, 특히 오너의 일시적 고통을 수반할 수 있다. 하지만 업계 전반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통과해야할 필수 코스다. 중고차 직거래 당사자들도 아는 이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