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읍면동 맞춤형 복지차량 23대 보급

2017-05-04 10:46

 

아주경제 진순현 기자= 제주도가 발로 뛰는 현장 중심의 복지행정을 펼치고 있다.

4일 도에 따르면 읍면동에 찾아가는 맞춤형 복지차량 23대를 보급한다.

맞춤형 복지차량은 우선 읍면동 복지허브화 시행 지역에 지원한다. 이어 복지사각지대 발굴, 찾아가는 방문상담, 생활실태 확인, 긴급 지원, 물품 지원 등에 이용돼 신속한 기동력을 발휘할 예정이다.

올해 복지차량 보급을 위해 도에서는 4억8300만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읍면동 복지허브화 구축에 맞춰 제주시 13대, 서귀포시 10대를 순차적으로 보급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19대를 추가로 보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찾아가는 복지상담 강화로 위험상황에 노출이 잦은 복지공무원의 안전 확보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복지담당 공무원 안전을 위한 스마트워치를 복지허브화 지역 읍면동에 각 3대씩 보급할 계획이다.

복지공무원 안전지킴이(스마트워치)는 현장 복지공무원의 의견을 반영해 안전 기능을 구축했으며, 응급호출, 폭언 등 현장상황 녹취, 경찰에서 공무원 위치 확인, 음성 통화기능을 주요기능으로 제공한다.

양시연 보건복지여성국장은 “더욱 신속히 움직일 수 있는 기동력이 확보된 만큼 현장 중심의 복지행정이 구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도민들의 체감도 향상을 위해 내년까지 전 읍면동에 복지허브화를 구축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읍면동 복지허브화는 기존 복지담당 외에 맞춤형 복지팀을 별도로 신설해 찾아가는 방문상담, 민관협력 활성화, 통합사례관리 등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지난해에 8개소, 올해 16개소를 확대 구축할 계획이며, 내년도에는 전 읍면동 복지허브화 구축을 목표로 추진중이다. 특히 읍면동 복지허브화를 통해 올해 1분기에는 방문상담 2195건, 자원발굴 198건, 자원연계 1079건 등 성과를 거둔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