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미수습자 수색·사고 원인 규명 등 난제 산적

2017-04-10 03:00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세월호가 1089일 만에 육지에 올라왔지만 앞으로 미수습자 수색과 사고 원인 규명 등 해결해야 할 난제는 산적해 있다.

세월호의 물리적 인양은 완료했다지만 미수습자가 발견되고 진상 조사가 완료돼야 진정한 인양이라는 국민적 열망이 가득하기 때문이다.

정부와 선체조사위원회는 육상 거치 작업 완료를 기점으로 모든 총력을 이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세월호 인양의 근본 목적인 미수습자 수색 작업이 본격적으로 이뤄진다. 아직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미수습자는 9명이다.

이들을 찾기 위해 선체 내부 수색은 물론, 세월호 침몰 해저면도 샅샅이 찾게 된다.

해양수산부는 세월호 선체에 대한 세척과 방역 작업을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수색에 나설 계획이다.

이철조 세월호 현상수습본부장은 "(세월호에 대한) 세척과 방역 작업을 해야 한다. 본격 수색은 이런 작업이 끝나면 착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수색을 위해서는 선내에 들어가는 인원의 안전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 부식 상태가 심각한 세월호 내부에서 자칫 붕괴 등 추가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이 본부장은 "안전대책과 수색은 원칙으로는 단계적으로 해야 하지만 미수습자 가족들의 염원을 감안해서 가능하면 병행하려 한다"라며 "장애물을 제거하면서 투입하는 수습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선체조사위는 수중 촬영 영상과 CCTV에 찍힌 미수습자들의 마지막 동선, 생존자 진술, 미수습자 가족의 증언 등을 모아 마지막 위치를 파악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세월호가 거치된 현장에는 수색 및 수습조가 상주할 예정이다. 현장에는 20명이 넘는 해경과 소방 119 직원 등 수색과 수습에 투입될 인력과 신원확인을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직원 등이 대기 중이다.

세월호 침몰 해저면 수색 역시 본격적으로 이뤄진다.

해수부는 9일 낮 12시 25분께부터 침몰 장소 주변에 설치된 유실방지 사각 펜스 구역에서 수중수색을 시작, 앞으로 2개월간 4단계에 걸쳐 수중 수색이 진행된다.

한편, 사고 원인 조사도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재 영국의 전문 기관인 '브룩스 벨(Brookes Bell)'이 이 역할을 맡았다.

선체조사위가 자문 기관으로 선정한 브룩스 벨은 1994년 852명이 숨진 '에스토니아호' 침몰 사고, 2012년 32명이 숨진 '코스타 콩코르디아호' 좌초 사고 등과 관련한 조사에 참여했다.

브룩스 벨은 지난 8일 세월호가 올려진 반잠수식 선박에 올라타 세월호 선체 외관 검증에 착수했다.

브룩스 벨은 독립적인 기준에 따라 검증을 실시하고 결과에 대해서는 중간에 공개하지 않을 계획으로, 충분한 검증을 거친 뒤 보고서 형태로 결과를 선체조사위위에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침몰 당시 수사 당국이 공식적으로 발표한 세월호 침몰원인은 △급격한 우회전 △무리한 증·개축 △화물 과적 △부실 고박 △복원력 감소 등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선박이나 암초, 잠수함 등 외부 물체와의 충돌설이 제기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