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급감 대만, 여행객 다변화에도 역부족

2017-04-04 12:20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대만이 중국인 여행객(유커·遊客)이 급감했으면서도 전체 외국인 여행객을 늘려놓는 데 성공했지만, 현지 대만 관광산업은 극심한 불황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 독립을 내세우는 차이잉원(蔡英文) 총통이 취임한 지난해 5월부터 올해 2월까지 10개월 사이에 112만명의 유커가 감소했다고 대만 중국시보가 4일 전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1.5% 감소한 수치다. 매체는 과거 유커 1명이 대만에 평균 7일 체류하면서 하루 232달러를 소비했다는 기존 통계를 근거로, 10개월 동안 558억5000만 대만달러(약 2조500억원)의 경제손실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해 5∼7월 대만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전년보다 월 5만여명씩 줄어들었으며, 이후 감소세는 더욱 가팔라졌다. 올 1월에는 10만명, 2월 들어서는 20만명이 각각 감소했다. 중국 최고의 성수기인 국경절이 끼어 있는 지난해 10월에도 17만명이 감소했다. 올해 역시 중국인 관광객은 최대 150만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743억 대만달러(약 2조7300억원)의 경제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지난해 대만 당국은 유커 급감에 대응해 적극적인 타국 관광객 유치에 나섰으며, 한국· 일본·베트남 등지로부터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이로써 지난해 대만의 전체 외국인 관광객은 1069만명으로 최대기록을 경신했다. 하지만 큰손 중국 유커가 사라지자 여행객 1인당 소비가 큰 폭으로 줄었다. 2004년 대만을 찾은 여행객은 평균 1373달러를 소비했다. 이 수치는 2011년 1817달러로 솟았지만 지난해는 1378달러로 하락했다. 지난해 관광수지 흑자규모는 1.55% 하락했다.

특히 최근에는 관광버스업계가 큰 타격을 입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매체는 관광버스업체 10%가 문을 닫았으며, 관광버스 3000대 이상이 매물로 나온 상태라고 보도했다. 경영난을 겪고 있는 업체들이 버스매각대금으로 부채를 갚기 위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밖에도 대만 내 항공사, 호텔, 면세점, 레스토랑 등도 극심한 불황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대만 당국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만을 방문한 중국 유커는 336만명으로 전년보다 18.5%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