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합부 일체형 복합방수공법 등 ‘건설신기술’ 지정

2017-03-28 11:00
구조물 안전·시공성 대폭 향상·효율적 품질관리 기대

아주경제 김종호 기자 = 국토교통부는 건축물을 방수 시공할 때 접합부에 물이 새는 문제를 막는 액상형 도막재를 적용한 복합방수공법 등 3건을 ‘이달의 건설신기술’로 지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제811호 신기술은 ‘재활용 폴리에스터 테이프가 삽입 고정돼 있는 개량형 폴리복합시트를 접합부에 일체형으로 결합한 액상형 도막재를 적용한 복합방수공법’이다.

건축물 방수 시공 시 접합부 처리의 어려움과 접합부 하자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됐다.

건축물 방수시공은 건축물의 이용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며, 그동안 방수시트 접합부 분리와 습기로 인한 결로 및 부식 등 문제점이 발생해왔다.

이번 신기술은 방수기능을 하는 폴리복합시트에 접착기능을 하는 폴리에스터 테이프를 일체형으로 제작, 시트와 시트를 접합하고 시트와 시트 간 공기이동이 가능한 에어 써쿨레이션 벨트(Air Circulation Belt)를 설치해 습기제거가 가능한 공법이다

해당 신기술은 별도의 결합재를 사용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구조적 안정성과 시공품질이 향상돼 향후 건축물의 방수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812호 신기술은 ‘공장에서 제작된 프리텐션 콘크리트 복부 부재와 노듈 부재를 이용한 급속시공 PSC 박스 거더 교량공법(Nodular Girder)'으로, 공장에서 제작된 블록을 현장에서 조립해 시공 시 발생하는 정밀도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됐다.

기존 교량 시공 시에는 거더를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제작해 교각에 거치 후, 일일이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해야해 연결부위 관리 등 어려움이 있었다.

신기술은 PSC 박스 거더 시공 시 부재를 세분화해 공장에서 제작한 뒤, 현장에서 조립을 완료하고 교각에 거치시키는 공법이다. 기존 공법에 비해 품질관리 및 시공성 향상 등 효과가 뛰어나 교량시공 등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813호 신기술인 ‘격자형 배수네트 부착형 복합 배수재 적용 터널 배수시스템 공법’은 터널에서 지하수 배수처리 용량 부족으로 발생하는 구조물 손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공법이다.

터널 시공 시 지하수 배출을 위해 원지반과 라이닝 콘크리트(터널 표면 콘크리트) 사이에 부직포를 설치하는데, 지하수 배출량이 많을 경우 배수장애 등으로 인한 결빙, 터널표면 균열 발생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번 신기술은 배수네트 양면에 부직포를 접합한 새로운 형태의 배수재(부직포+배수네트+부직포)를 사용, 부직포만 시공하는 기존 공법에 비해 배수처리 용량이 증가해 지하수 유입이 많은 터널 등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