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인수戰 안갯속...“결국 법적공방行”
2017-03-22 17:40
[사진=금호타이어 제공]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인 금호타이어 인수전이 안갯속이다. 박삼구 회장의 컨소시엄 구성 여부를 놓고 채권단이 갈피를 못 잡고 있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지난 20일 컨소시엄 허용 안건을 우리은행 등 8곳에 서면 부의해 이날까지 관계 기관들의 의견을 모아 결론을 낼 예정이었지만 이를 연기했다.
당초 “컨소시엄 구성은 원칙상 불가”라고 주장했던 산업은행은 뒤로 한 발짝 물러나 “채권단 차원에서 검토하겠다”고 입장을 선회했지만, 추가적인 법률 검토 등을 이유로 아직까지 안건을 부의하지 않고 있다.
컨소시엄 허용 여부를 안건으로 올릴 경우, 의결권 기준 75%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가결된다. 핵심은 30% 이상 의결권을 보유한 우리은행(33.7%), 산업은행(32.2%)의 의중이다. 두 곳 중 한 곳이라도 반대의사를 표하면 컨소시엄 구성 여부는 불가하다.
컨소시엄 허용 여부를 놓고 채권단이 갈피를 못 잡는 데는 정치권의 입김이 한몫했다. 중국 타이어업체 더블스타에 금호타이어가 매각되면, 과거 쌍용차를 인수했던 상하이기차처럼 고급 기술만 쏙 빼가고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이에 문재인, 안희정, 이재명 등 대선 유력후보들이 중국 타어이업체 더블스타에 매각에 반대하는 입장을 연일 쏟아냈다. 채권단으로서는 매각 절차를 밀어붙이기 어려워진 셈이다.
이처럼 이해관계 당사자들의 여론전이 진흙탕 양상으로 흐르고 있는 가운데 금호타이어 인수전의 결말은 소송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만약 채권단이 컨소시엄 구성을 허용하면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더블스타가, 허용하지 않으면 박삼구 회장이 소송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박 회장은 “채권단이 컨소시엄 구성을 허용하지 않으면 우선매수청구권을 포기하겠다”면서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더블스타도 “박삼구 회장은 개인 자격으로만 우선매수권 행사가 가능하다”는 산업은행 입장이 담긴 확약서를 근거로 소송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