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정금리 확대 주문하지만… 시중에서는 여전히 변동금리
2017-03-15 08:00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 금리 상승기에 접어들면서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가계빚 질 개선을 위해 고정금리 확대를 주문하고는 있지만 시중에서는 여전히 변동금리를 더 선호하는 모습이다. 지금 당장의 이자 부담이 더 낮기 때문이다.
실제로 정부 정책으로 지난해 크게 늘었던 고정금리형 대출 비중도 다시 제자리로 내려온 상태다.
결혼을 앞둔 직장인 유모씨(32)는 "신혼집을 장만하기 위해 대출을 받아야 하는데 지금 당장 이자를 덜 내는 쪽이 낫다고 생각한다"면서 "앞으로 금리가 얼마나 더 오를지 모르겠지만 현재는 한 달에 10만원을 더 내는 것도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실제로 현재 은행권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변동금리형보다 연 0.3~0.7%포인트 정도 높다. 특히 작년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시장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고정금리형 대출의 금리가 변동금리형보다 2배 이상 더 빠른 속도로 뛰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보다 연이자율이 1%포인트나 낮은데 굳이 처음부터 높은 이자를 내면서 고정금리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면서 "또 3년이 지나면 중도상환수수료가 없어 금리가 높다 싶으면 그 때 갈아타면 돼 변동금리가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변동금리라고 해도 시장 금리 상승분이 곧바로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5~6개월 단위로 조정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변동금리가 낫다"고 조언했다.
이렇듯 변동금리형 대출을 선호하는 추세가 이어지면서 고정금리형 대출의 비중이 크게 축소됐다.
실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보면 올해 1월 말 현재 신규취급액 기준 고정금리형 가계대출 비중은 38.6%로 전년 같은 때 49.8%보다 크게 낮아졌다. 정부 정책의 유도로 작년 7월 고정금리형 대출 비중이 57.8%까지 상승했지만 이후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가계빚이 작년 1300조원을 넘어선 가운데 정부가 가계부채의 양과 질을 개선하는데 모두 실패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