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中 사드 보복으로 중태 빠진 관광산업…정부는 '검토'만

2017-03-10 01:00

 

아주경제 기수정 기자 =터질 것이 터졌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 이후부터 시작된 중국 정부의 보복이 관광 분야로 확대됐고 최근에는 각 여행사에 '한국 여행 전면 금지령'이라는 일곱 가지의 구체적 지침까지 내리며 최대 방한객이었던 큰손 유커(游客)의 발길이 뚝 끊길 위기에 처한 것이다. 

지난해 7월, 주한 미국의 한반도 사드 배치가 결정된 직후 중국 보복 우려가 제기됐음에도 정부는 '우려의 소지는 적다. 중국이 경제적 보복을 할 거라고 예단할 필요는 없다."며 안일한 태도로 일관해왔다.

정부가 넋 놓고 있는 사이, 중국의 사드 보복은 '한국 여행 금지'라는 치명상을 입히며 유커에 의존하던 우리 '관광산업'을 중태에 빠뜨렸다.

상황이 심각한데도 정부는 말을 아꼈다. "아직 명확히 드러난 것은 없다."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는 말만을 반복하더니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가 송수근 장관직무대행(1차관) 주재로 긴급회의를 열고 중국 시장의 상황을 점검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중심의 관광 시장 다변화, 지역 항공 노선을 늘리는 방안 등의 내용이 논의됐으나 결론적으로는 '검토하겠다'는 말만 되풀이할 뿐이었다. 

방한할 예정이었던 중국 관광객이 예약을 줄줄이 취소하면서 방한 중국단체관광객을 전담하던 중소여행사는 물론 방한한 유커가 묵어갔던 중소 호텔들, 식당, 면세점 등은 벌써 매출에 큰 타격을 입기 시작했다.

그러자 직격탄을 맞은 관광업계에 500억원의 관광진흥개발기금을 긴급 지원하겠다는 방안을 발표했지만 이는 사드 보복 후속책으로 새롭게 마련한 대안이 아닌, 기존 관광 활성화 추진대책의 한 부분이자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뒷북 대응에 불과했다.

관광산업은 국가의 역학관계에 따라 명암이 극명히 엇갈리는 산업이다. 예상치 못한 변수에 큰 영향을 받는다.

정부가 예견하지 못했던, 아니 예견조차 하지 않으려고 들었던 사드 보복 후폭풍. 그 고통은 민간이 고스란히 짊어지게 됐다.

정부는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좀 더 현명하게, 구체적이면서 실질적인 회생방안을 내놓길 간절히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