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채 최대 리스크는 중국"'…미국 中과 극한 환율대립 피할 듯

2017-02-16 12:56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최근 미국 국채의 수익률이 꾸준히 상승하는 가운데, 중국의 국채 매도 움직임에 대한 미국 언론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트럼프 정부 정책 미국 국채 최대 변수로 부상
 
미국의 경제전문 채널 CNBC는 미국 국채의 큰손이었던 미국 은행들과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화에 따라 국채 매도에 나서고 있다고 15일(이하 현지시간) 지적했다.

"그동안 미국 국채가 연준이나 다른 중앙은행들의 정책에 여향을 받았다면, 이제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들이 국채 시장을 움직이는 가장 큰 변수 중 하나"라면서 "강경한 국외 정책 및 규제완화 전망 등에 힘입어 미국 은행들과 중국은 국채 매도 움직임이 가속화 되고 있다"고 CNBC는 지적했다. 

금융위기 이후 은행들은 금융규제에 따라 일정 수준이상의 안전자산을 보유해야 했고, 이같은 이유로 포트폴리오에서 미국 국채의 비율을 매우 높였다. 현재 미국 은행들이 들고 있는 미국 국채 및 회사채의 규모는 2조 4000억달러에 달하며 이는 9년 전에 비해서 두배에 가까운 것이다. 

그러나 미국 하원은 도트-프랭크법 규제 완화를 주장하고 있어, 앞으로 은행들은 국채의 비중을 줄어나갈 수 있는 여지가 더욱 커진 것이다. 실제로 뱅크오브어메리카(BOA)와 웰스파고 등 미국 대형 은행들은 국채 매도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 "미국 국채시장에 중국 움직임 주시해야"   

그러나 현재 미국 국채시장에서 가장 큰 위험요소로 부상한 것은 바로 중국이라고 CNBC는 지적했다. 중국이 지난해 11월을 기준으로 보유하고 있었던 미국의 국채는 1조달러가 넘는 규모였으며, 이는 전해에 비해서는 2150억 달러가 줄어든 것이다. 지난 10월에만 중국은 410억달러에 달하는 미국 국채를 매도했으며, 이로서 미국 채권 보유국의 1위 자리를 일본에 넘겨주기도 했다. 

이전에 중국의 미국의 국채를 내다 팔아야 했던 이유는 위완화가 지나치게 하락하는 것을 막기위한 자금 확보를 위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는 선거 기간내내 중국이 인위적으로 환율을 조작했다고 비난한면서 중국산 제품에 45%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골드만삭스의 정치 이코노미스트인 알렉 필립스는 만약 백악관이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매기는 일방적인 정책을 계속할 경우 이에 대한 조치로 중국이 더 많은 미국 국채를 시장에 내다팔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의 베이징 대외경제무역대학교 총장인 투신촨 역시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소폭의 관세 상승의 움직임에도 보복에 나설 수도 있다"고 전망한 바도 있다.  "만약 미국이 중국에 대한 적대적인 정책을 계속 펴고 중국이 이에 대한 보복을 시작한다면 첫 타깃은 미국 국채시장이 될 것이다"라고 CNBC는 지적했다.

그러나 최근 트럼프 행정부 내의 대중 정책은 다소 변화를 보이고 있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상무부가 중국과의 직접적인 대립을 피하고 환율 조작을 할 경우 상계관세를 부과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대신 미국 상무장관이 환율조작을 하는 나라는 예외없이 자국통화 평가절하를 통한 불공정 보조금을 지원 나라로 지정할 수 있다고 것이다. 미국기업들이 중국 뿐 아니라 어떤 나라든지 미국 상무부에 불공정 보조금지원 시정을 요청할 수 있는 방안이다. 

이같은 방안은 중국과 직접적인 갈등을 빚어 긴장이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해결책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