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조선업 종사자 체감 온도 높이는 대책 서둘러야
2017-02-14 19:06
최근 반월공단에서 만난 한 용접 기술자는 이렇게 말했다. 그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울산에 있는 대형조선사의 하청업체에서 근무했다.
그러나 수주절벽으로 조선업 전체가 어려워지면서 동료들이 하나둘 떠나기 시작했고, 그 역시 울산을 떠나 몇개월 만에 새 직장을 구할 수 있었다.
수주절벽이 장기화 되면서 조선업 종사자들이 경험을 살려 재취업을 할 수 있는 기회도 현저하게 줄고 있다. 앞서 만난 용접 기술자는 운이 좋은 경우다.
정부에서도 울산, 거제, 통영 등 조선업 밀집지역의 구직난을 해결하기 위해 나섰다. 정부는 지난해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 등을 연계해 '조선업 희망 플러스 센터'를 마련했다. 그러나 이 센터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찾기는 매우 힘든 실정이라고 조선업 관계자들은 전했다.
거제에 있는 한 조선업 종사자는 “일자리 박람회를 가거나 홈페이지를 둘러봐도 음식 서빙 등이 상당수를 차지한다”며 “경험을 살릴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를 찾기가 힘들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고용센터 관계자는 “이전 직무와 다른 일자리를 구하는 이들의 요청도 있고, 실직자 가족들도 대상으로 안내를 하다 보니 서빙이나 제품포장 등의 일자기를 소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센터 관계자의 얘기도 어느 정도 일리는 있다. 하지만 구조조정의 전 단계인 무급휴직이 늘어나는 현 조선업의 추세를 고려하지 못한 발언이라고 생각된다.
지난해 현대삼호중공업에 이어 올들어 대우조선해양도 순환 무급휴직에 들어갔다. 다음달에는 성동조선해양이 무급휴직 대열에 합류한다.
회사는 인건비를 절감하고 경영 정상화를 꾀하기 위해 무급휴직에 돌입한다지만 직원들은 좌불안석일 수밖에 없다. 휴직자들 상당수가 구직·구인 사이트를 방문하고 소속 회사의 동정에 귀를 기울이는 것은 이미 오래다.
조선업 전·현직 종사자들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는 정부의 대책에 부족함을 느끼고, 오늘도 많은 이들이 정든 일터를 떠나고 있다. 지금이라도 정부는 조선업체들의 경영정상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는 실직자들을 위한 현실성 있는 대안을 내놔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