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엘씨티·타워팰리스·갤러리아포레 등 초고층 아파트, 화재에 안전한가?

2017-02-06 15:30
4일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로 수도권 초고층 건물 거주민들 불안감 가중

6일 경기 화성시 동탄 메타폴리스 상가에 지난 4일 발생한 화재로 임시 휴점을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아주경제 김충범·오진주 기자 = 지난 4일 경기 화성시 '동탄 메타폴리스' 상가 화재로 4명이 목숨을 잃는 등 51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초고층 아파트 방재 안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관리 업체가 이달 1일 경보기·유도등·스프링클러 등을 작동 정지시켜놨다가 화재 직후인 4일 오전 11시 5분께 다시 킨 것으로 알려지면서, 안전에 대한 거주민들의 불안감도 더 커지고 있다.

동탄 메타폴리스는 66층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로 상가건물 2개동과 주거건물 4개동(1266가구)으로 이뤄져 있다.

서울에서는 총 7개 동으로 이뤄진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가 대표적 초고층 주상복합 단지로 꼽힌다. 타워팰리스 1차와 2차, 3차는 각각 66층과 55층, 69층으로 구성돼 있다.

타워팰리스 시설 관리를 맡고 있는 피엠씨 관계자는 "통상적으로는 방재 팀장의 지시 하에 자체적으로 소방 훈련을 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입주민에게 보고하는 절차를 거치는 방법으로 방재를 예방한다"며 "다만 사고 발생 시 일반 주민은 동선을 잘 알지만, 외부인이 많은 상가 이용객들의 경우 이에 대한 혼선을 빚는 경우가 많다. 피난로에 대한 경로를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외국의 코스트코 같은 대형 마트의 경우 출입문에 피난 유도 표시를 따로 해놓는데, 우리나라 주상복합은 부유층이 많아 그런 표시를 하는 경우가 드물다. 미관성 꺼려서인데 이런 부분에 아쉬움이 많다"고 덧붙였다.

2015년 준공된 용산구 이촌동 '래미안 첼리투스'는 높이 202m, 최고 56층 높이를 자랑한다. 이 단지는 현재까지 한강변에 위치한 아파트 가운데 가장 높다. 또 지난해 비자금 조성 논란에 휩싸인 부산 해운대구 '엘시티(LCT)'는 국내 최고층 주상복합 아파트를 목표로 지어지고 있다. 이 단지는 101층 랜드마크타워 1개동과 85층 주거건물 2개 동으로 2019년 11월 말 완공된다.

건축법상 50층 이상 또는 높이 200m 이상일 경우 '초고층', 30~49층으로 이뤄질 경우 '준초고층'으로 분류된다. '마천루'가 건설사들의 첨단 기술이 집약된 건물이다 보니, 매년 초고층, 준초고층 건물의 수는 경쟁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방재 방안은 초고층 건물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게, 무엇보다 건축 구조적인 부분보다 취약한 피난 및 대피 시스템이 문제라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이창우 숭실사이버대학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국내 고층, 초고층 건축물들의 경우 방재에 대한 이론적인 매뉴얼이 다 갖춰져 있는 상태다. 사실 이대로 설계만 됐다면 화재가 확산될 가능성은 낮다"며 "특히 초고층 단지는 약 20층 단위로 불길이 번지지 않도록 차단되는 빈 유휴 공간이 있다"고 설명했다.

안전설비전문업체인 비투텍의 이병철 이사는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 30층마다 피난안전구역이 1곳 이상 설치되도록 돼있다. 이 법안이 지난 2012년 3월 시행된 만큼 이후 시공된 건물은 비교적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며 "문제는 피난안전구역에 창고로 쓰이는 등 제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특히 화재가 발생하면 이 공간이 막힐 경우 막대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더 큰 문제는 2012년 3월 전에 지어졌거나 고층에 해당하지 않는 29층 이하는 그나마도 피난안전구역을 담보할 수 없는 '사각지대'에 놓인 건축물들”이라며 "이럴 경우 대피훈련에 정기적으로 참여하고, 이웃으로 통하는 경량 칸막이를 확인하거나 비상 대피 통로를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