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중고' 철강업계, 활로가 안보인다

2017-01-30 18:24

[사진=아이 클릭 아트]


아주경제 류태웅 기자= 철강업계가 중국의 과잉생산 해소 정체, 정부의 산업 구조조정 요구, 미국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라는 '3중고'에 고민이 커지고 있다.

30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미국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당시 자국산 제품을 우선 구매한다는 '바이 아메리카' 정책보다 훨씬 강도 높은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으로 인해 대미 수출은 빨간불이 켜졌다.

미국은 단일 시장으로는 중국에 이어 국내 철강 제품 수출량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로,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열연강판, 냉연, 도금강판 등 철강을 약 345만t 받아 들였다. 오래 전부터 자국 철강업체를 보호한다는 보호무역 정책을 펴왔던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더욱 강력한 통상압박을 가하며 해외 철강제품의 자국 수입 통제를 본격화하고 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0일(현지시간)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예고하며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탈퇴했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 및 거부시 폐기 방침을 밝혔다.

NAFTA 재협상 등 미국과 멕시코간 통상마찰이 일어나면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멕시코에 4개의 자동차용 강판 공장을 세운 포스코, 기아차와 함께 동반 진출한 현대제철 등은 무관세에서 관세폭탄을 맞을 수 있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가 국내 철강사들의 실적을 좌우할 뇌관으로 꼽히고 있지만, 대비책은 미미하다.

미국 비중이 절반을 넘는 세아제강이 트럼프 당선 직후인 지난해 11월 총 1억 달러를 들여 휴스턴 소재 OCTG(유정용 강관) 제조 및 프로세싱 업체 2곳을 인수하며 선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없다. 포스코, 현대제철 등 기타 철강사들은 이제서야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기업들의 걱정은 커질 수밖에 없다.

중국도 철강산업 구조개혁을 추진 중이지만 과잉생산 규모가 워낙 큰 데다, 시진핑 주석의 드라이브에도 제철소가 소재한 지방정부의 소극적인 대응탓에 감산 폭은 기대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중국간 경제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통상 전쟁이 본격화 되고 있어 각각 수출 1, 2국가인 한국에 불똥이 튀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통상 공세가 강화되면 중국의 철강업체들은 미국향 수출물량을 제3국에게 돌릴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저가제품 유입으로 내수시장이 붕괴 상태까지 몰렸던 한국이 또 다시 피해를 볼 것"이라며 "중국은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한국제품에 대한 보복성 통상 조치를 확대해 나가고 있어 양국으로의 수출 전망이 매우 불투명하다"고 설명했다.

새해 들어 정부의 철강산업 구조조정 요구가 더욱 강해지고 있는 점도 철강업계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10일 철강업계 신년인사에 참석해 "철강 구조조정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지만, 경쟁력 있는 부문을 중심으로 사업재편을 조속히, 속도감 있게 진행해야 한다"며 구조조정에 성의를 보여 줄 것을 요구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무작정 우리만 구조조정을 빨리 진행하면 향후 경기 회복에 대비할 수 있는 생산 설비 기반이 축소돼 외국산 제품의 유입에 대응할 수 없고, 수요산업에 대한 안정적인 제품 공급이 불가능해 질 수도 있다"며 "대내외 상황을 모두 감안해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하는 데 모든 것을 업계에게만 책임을 돌리는 상황은 아쉽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