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민주화 30년, 대한민국의 위기…87·97 체제를 넘어라
2017-01-16 15:18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정확히 30년 전이다. 대학가 등 전국 곳곳에서 대통령 직선제와 호헌 철폐의 외침이 울렸다. 그 절규는 1987년 6·10 민주항쟁으로 이어졌다. 해방 이후 장기간 지속된 독재정권의 망령을 끊어내는 순간이다.
그로부터 30년 후 서울 광화문 광장을 비롯해 전국 각지에서 수백만의 촛불이 박근혜 대통령 퇴진과 재벌 총수 구속을 외친다. 변한 것은 없다. 30년 전 87년 헌법에 ‘절차적 민주주의’를 담아냈지만, 1%가 99%를 독점하는 기득권의 ‘폭주’는 여전하다.
그 사이 한국 경제는 외환위기 파고에 직면,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이란 극약 처방을 받았다. 관치 경제의 종말을 끝내고 모습을 드러낸 97년 체제의 핵심은 수출 대기업 주도 성장 정책이었다.
현재의 대한민국은 역사적 체제 논쟁 이행기에 있다. 세계사적으로 역사적 이행기에는 정치사회 세력 간 갈등이 증폭한다. 신체제의 역습과 구체제의 저항이 강하게 맞붙는 시기다. 그만큼 혼란스럽다는 얘기다.
대한민국의 위기는 크게 세 가지다. 하나는 87년 헌법의 한계인 제왕적 대통령제 등 ‘대표성의 위기’다. 대통령 권력도 정당 정치도 대표성을 사실상 상실했다. 선거 때마다 ‘메시아적 이미지’의 ‘OOO 현상’을 찾는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
마지막으로는 계층·세대 간 신뢰를 상실이다. 불안과 공포가 일상 코드가 된 위험사회의 징조인 사회적 자본의 상실은 87년 체제와 97년 체제의 한계가 낳을 괴물이다. 이제는 2017년 체제다. 탈냉전을 뛰어넘는 ‘글로벌 거버넌스’, 신자유주의와 단절한 ‘한국현 경제모델’, 공동체주의와 개인주의를 극복한 ‘네트워크화된 개인화’ 등이 대한민국을 점령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