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신년사]이주열 한은 총재 "금융·외환시장, 실물경제 안정 최우선 과제"

2016-12-31 12:01

1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제16차 금융통화위원회의에 참석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소 짓고 있다.[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대내외 불확실성 요인들로부터 금융·외환시장과 실물경제의 안정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31일 2017년 신년사에서 "올해 우리 경제는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다소 확대되는 데 힘입어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그러나 안팎의 여건을 살펴보면 성장세를 제약할 수 있는 요인들이 곳곳에 잠복해 있다"고 밝혔다.

그는 "주요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움직임이 뚜렷해지면서 세계교역이 위축될 소지가 있다"면서 "미국 신정부 정책,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금리인상,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국제금융시장을 불안하게 하거나 세계경제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국내여건의 불확실성이 경제주체들의 소비 및 투자 심리뿐 아니라 우리 경제에 대한 해외투자자의 시각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이같은 상황에서는 금융·외환시장과 실물경제의 안정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면서 "우리 경제는 대외건전성과 금융부문의 복원력이 양호하고 정책여력도 충분해 어느 정도의 충격은 견뎌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낙관할 수만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외 리스크 요인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현재화되거나 국내여건 악화와 맞물릴 경우 그 파급영향이 예상 외로 클 수 있다"며 "발생 가능한 상황별로 적기에 대응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는 등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저출산·고령화, 가계부채 누증, 노동시장 이중구조, 소득 불균형 등에 대응한 개혁과제도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하다"고 덧붙였다.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 접근하도록 운용해 나가야 한다"며 "유가상승 등으로 물가 오름세가 점차 확대되겠으나 성장세가 완만해 수요측면에서의 인플레이션 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앞으로 상당기간은 완화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통화정책을 운영함에 있어 금융안정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며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높으므로 가격변수와 자본유출입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필요 시 안정화 대책을 적극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등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압력이 가계의 채무상환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면서 "정부, 감독당국 등과 긴밀히 협의하여 가계부채의 급증세를 안정화시키는 한편 취약계층의 채무불이행 위험이 커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또 "통화정책의 유효성 제고를 위해서도 배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며 "이를 위해서는 경제전망의 정도를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이야기했다.

끝으로 "지금 우리나라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매우 엄중한 상황에 처해 있는 만큼 거시경제 운용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중앙은행 임직원 모두가 투철한 사명감과 책임의식을 가지고 한 치의 흔들림도 없이 맡은 직무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