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윤경, 금융사에도 책임 묻는 '소비자신용 보호법' 제정안 발의
2016-12-27 09:05
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금융회사가 채무자에게 갚을 수 있는 능력 이상의 돈을 빌려주지 못하도록 대출 실행에 책임을 묻고 채무자의 사정으로 빚을 갚기가 어려운 경우 갚는 기간을 연장하거나 이자율을 조정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는 '소비자신용보호에 관한 법률'이 발의된다.
정무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소비자신용 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안을 27일 발의한다.
이번 제정안은 신용사업자(금융회사)와 신용소비자(채무자) 간의 새로운 권리·의무 관계를 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채무자에게 금융회사에 대항할 수 있는 권리를 준다는 의미에서 일종의 ‘채무자 권리장전’이라 할 수 있다고 제 의원측은 설명했다.
특히 제윤경 의원은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지목되고 있는 가운데, 금융회사의 무분별한 대출과 쉬운 담보권 실행이 결합되면 미국 모기지론 사태와 같은 ‘가계 연쇄부도’ 등 금융시장의 시스템 리스크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제정안의 주요내용으로 △금융회사의 책임대출 의무 △채무자의 사전채무조정요청권 △ 원금부터 갚는 변제충당 특례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금융회사가 고객에게 갚을 능력을 넘어 대출하는 약탈적 대출에 대해 책임을 묻는 ‘책임대출 의무’를 도입하고, 금융회사가 고객의 갚을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평가서를 작성, 교부하도록 했다.
또 돈을 빌린 사람이 실업, 질병 등 일시 또는 장기적으로 빚을 갚을 수 없는 위기상황에 빠졌을 때 상환기간을 연장하거나 이자율을 조정해달라고 금융회사에 요청할 수 있는 ‘사전채무조정요청권’도 도입했다.
대출금이 연체됐을 때 원금부터 갚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원리금이 연체됐을 때 연체이자가 줄어드는 효과가 생기도록 원금, 이자, 비용 순서로 갚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는 비용, 이자, 원금 순으로 갚도록 돼 있다.
제 의원은 “미국은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때 금융회사들이 무분별하게 채권을 회수해서 가족 해체 등 사회 문제를 낳았다”며 “채무자를 ‘빚 못 갚는 죄인’으로 분류하기보다 건전한 신용상태를 유지토록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금융시장의 부실을 막는 ‘윈윈 전략’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