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희망 인사시스템' 도입 3년차 부작용 도출
2016-11-23 00:01
민원인 상대하는 사업부서 기피, 공문서 만지는 지원부서만 희망… '보직이동 인사 강제력 필요성' 제기
특히, 희망 인사시스템으로 근무를 하고싶은 희망부서와 하기싫은 기피부서가 생겨나면서 인원이 필요한 부서에 적재적소 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공직사회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보완이 요구대면서 내부 고발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앞서, 2014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이 시장은 일하는 공직사회를 만든다는 판단으로 희망 인사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는 단체장이 직접 인사에 관여하지 않고 직원들이 내부 전산망를 통해 희망 보직 1·2·3순위를 제시, 각 실·국장들이 희망자들 중에서 대상 보직 적임자를 뽑는 식으로 이뤄지는 것.
그동안 학연, 지연, 혈연 등에 의한 폐해를 없애나가면서 각 부서별로 일 잘하는 직원을 뽑도록 해 공직자 스스로 일한 성과 만큼 대우받는다는 의식을 갖도록 유도했다는 점에서 신선한 평가가 나왔지만 도입 3년차에 접어들면서 이 같은 부작용에 따른 누수가 생겨나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당초 취지와는 다르게 변질되고 것. 일 잘하는 공직사회를 만든다는 취지가 직원들이 가기싫은 기피부서가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기피부서로 낙인찍힌 부서는 직원들이 근무를 희망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인원이 필요해도 배치가 안 되고 있다. 승진에 있어 중요하게 적용되는 근무평점이 잘 나오는 부서를 희망해야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주요 부서에 희망자들이 몰리고 있는 셈이다.
세종시가 출범하고 전국적으로 실력 있는 공무원들이 대거 세종시로 전입오면서 희망인사 시스템을 이용한 주요부서 희망으로 일부 특정 부서들은 열심히 일하면서도 기피부서로 낙인찍혀 피해의식과 함께 상대적인 박탈감도 생겨나고 있다.
해서 희망인사시스템을 일부 보완해야 한다는 공직 여론도 생겨나고 있다. 좋은 부분은 유지하고, 공직사회 전체가 아닌 개인 이기주의에 따른 부작용으로 악용되는 부분은 보완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세종시 출범과 함게 전입온 한 과장은 "희망 인사시스템이 잘 운영되길 바라는 마음이지만 직원들이 주요 부서 근무만 희망하기 때문에 타의적으로 기피부서로 낙인찍히게 됐다"며 "보직이동 인사만큼 이라도 어느 정도 강제력이 부여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