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진보다 무서운 국수주의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한류에 영향줄까

2016-11-22 13:29

[사진=연합뉴스]


아주경제 김재윤 기자 = 국수주의란 자기 나라의 민족성·역사·전통·문화·정치만이 가장 우월하다고 믿음으로써, 다른 나라나 민족을 배척하는 극단적인 태도나 경향을 나타내는 극단적 국가주의를 말한다.

역사적인 실례로 일본의 메이지 정권 이후의 국수보존사상,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이탈리아의 파시즘, 독일의 나치즘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역사적 형성과 함께 생겨난 종족(민족)문화가 외래의 이질 문화에 대항해 스스로 '문화방위'의 자세를 취하게 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국수주의가 돌아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세계화에 반대하는 자국 우선주의 정서는 각종 선거를 통해 드러나기도 했다. 지난 5월 필리핀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 당선, 6월의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찬성, 이달 8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승리 등이 그 사례다.

트럼프 후보와 지난 17일 뉴욕에서 회담한 일본의 아베 총리도 국수주의 정책을 추진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일본 국수주의 반대자로 평생 조선 침략사를 연구해 온 일본 역사학자 나카쓰카 아키라(88) 나라여대 명예교수는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경운동 천도교 중앙대교당에서 열린 강연에서 현 아베 정권에서 벌어지는 국수주의적 정책에 대해 "일본이 자신들이 일으킨 전쟁은 잘못이 없다고 스스로 확신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이런 배타성을 내포한 국수주의는 문화영역에서 민감하게 작용했다. 지난 15일 아사히신문은 신주쿠한인상인연합회의 집계 결과 2012년 봄 500곳이었던 신오쿠보 역 주변 상점가의 한류 상품 판매점, 한국 음식점 등 한국 관련 점포가 지난 8월 320곳으로 36% 줄었다고 보도했다. 아베 정권 이후 수년간 일본 내의 혐한 시위가 그칠 줄 모르던 동안 벌어진 일이다.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한류문화 확산을 금지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논란에 있다. 지난 19일 중국 광고회사 관계자들 사이에서 중국판 카카오톡인 위챗에 "역사상 가장 강한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이 왔다. 모든 한국 기업과 한국 브랜드, 한국 연예인 등 어떤 한국의 특징을 함유한 광고도 19일부터 전면적인 금지에 들어간다"는 내용이 돌았다는 것이다.

한반도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결정과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 직전에 중국 당국의 비공식적인 '한한령'으로 한중간 콘텐츠 투자 교류가 영향을 받게 될지 우려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