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로칼럼] 융합의 힘, 환경산업 해외진출에 필요
2016-09-21 10:41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김용주 원장
18세기 영국의 증기기관차를 타고 확산된 산업혁명의 파고는 2차 산업혁명(자동화), 3차 산업혁명(디지털)을 거쳐 이제 ‘4차 산업혁명’으로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개념은 바로 ‘융합’이다.
올해 초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포럼은 4차 산업혁명을 디지털, 바이오산업, 물리학 등을 융합하는 기술혁명이라고 설명했다. 다양한 분야의 경계가 사라지고, 사회 전분야에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별 시리즈의 주인공이던 영웅이 모여 힘을 합쳐야 하는 영화 속 ‘어벤저스’가 이제는 거스를 수 없는 산업계 흐름이 된 것이다.
새로운 무역장벽을 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하나의 환경기술이 개발돼 해외에 수출되기까지 △기술개발 △제품제작 △인검증 획득 △국내실적 확보 △해외진출 등으로 이어지는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
세계 환경산업 시장은 반도체 시장의 3배에 달하는 1000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세계적으로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환경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우선 기존 환경기업간의 컨소시엄에서 벗어나 △컨설팅 업체 △법률 및 회계법인 △IT기업 △현지 로컬기업 등 해외진출에 필요한 각 분야의 기업간 합종연횡식 연합이 필요하다.
세계 환경시장 진출을 위해 우수한 기술개발뿐 아니라 △환경규제 △법률 △금융 △무역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해외진출에 따른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끊임없이 변하는 세계 시장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다.
또 정부가 이뤄낸 정상외교 성과를 활용, 민관이 함께 전진기지를 구축해야 한다. 지난 9월 초 한국-러시아 정상회담을 계기로, 극동 개발을 위한 교역과 투자, 농업· 수산, 산업기술 분야 등 경제 분야에서 총 24건의 양해각서가 체결됐다.
러시아 하바롭스크(Khabarovsk)주의 폐기물 처리시설 사업도 이에 포함됐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이 지역의 폐기물 관리 마스터플랜 사업을 지원하고, 국내 기업이 러시아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 구축에 주력할 계획이다.
우리나라 기업은 정부 지원을 선제적으로 활용해 정부가 발주하는 단순 하도급의 사업만 수동적으로 기다릴 것이 아니라, 사업자가 직접 투자운영하는 투자개발형사업(PPP)을 발전시켜야 한다.
나아가 물리적인 세계와 디지털 세계가 사물인터넷(IoT)를 통해 컨버전스를 이루는 새로운 모델을 환경산업 분야에서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미 GE, 캐터필러와 같은 세계적 제조업체들은 IoT를 활용한 스마트 시스템을 구축해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앞으로의 글로벌 환경시장 역시 IoT를 중심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 분야를 선점하는 곳이 미래 환경시장을 선점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