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4.5 규모 지진 재발…안전처 홈피 ‘먹통’…원전은 이상무(종합)

2016-09-19 22:20
기상청 “경북 경주 남남서쪽 11㎞ 규모 4.5 여진 발생”…부산·대구 및 수도권 등지서 여진

19일 오후 8시 33분께 경주시 남남서쪽 11㎞ 지역에서 4.5 규모의 지진이 또다시 발생하면서 국민안전처 홈페이지가 다운됐다. [사진=국민안전처 캡처]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대한민국을 공포로 몰아넣은 경상북도 경주 인근의 지진 여파가 가라앉지 않은 가운데, 19일 오후 8시 33분께 경주시 남남서쪽 11㎞ 지역에서 4.5 규모의 지진이 또다시 발생했다. 지진 발생 깊이는 약 14㎞였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지진은 지난 12일 경주 일대에서 발발한 5.8 규모의 지진 374차례(이날 9시 현재) 이어진 여진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5.8 지진의 전진이었던 5.1 지진을 포함하면, 두 번째로 강한 규모다.

특히 경북 일대 지진동이 감지된 직후 대구와 부산은 물론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에서도 여진을 느낀 시민들의 잇따른 신고로 119와 112 상황실에는 전화문의가 폭주했다. 

부산 일부 학교는 자율학습을 중단했고 울산교육청도 전 학교에 자율학습 중단 및 귀가 통보를 한 상태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일부 생산라인도 한때 가동이 중단되는 등 전국적인 피해가 적지 않았다.

다만 전국의 원자력 발전소는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지진 발생 직후 “지진 발생지 인근에 있는 신월성 원전을 비롯해 모든 원전이 정상 운전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경주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고리원전(부산광역시 기장군)의 재난 비상단계만이 C급에서 B급으로 상향됐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 안전 정책을 총괄하는 ‘국민안전처’ 홈페이지가 또다시 다운, 논란이 일 전망이다. 앞서 안전처 홈페이지는 지난 12일 경주의 5.8 규모 지진 당시에도 약 3시간 동안 먹통이 된 바 있다. 안전처는 긴급재난문자를 지진이 발생한 지 12분이 지난 오후 8시 45분께 발송했다.

한편 황교안 국무총리는 경주 지진 재발과 관련해 “안전처와 행정자치부 장관은 지진피해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주민의 불안 해소를 위해 지진 관련 정보를 정확히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행동요령을 안내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추가적인 지진이 발생한 만큼 긴장감을 갖고 비상근무 체계를 유지하고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며 “산업부·미래부·국토부 장관은 원전·전기·통신·교통 등 국가기반 시설 운영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점검하고 비상조치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