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인상 영향 '성큼'…한국경제 영향은

2016-09-19 14:52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미국의 금리 인상이 가시화되면서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 금리 인상은 우리나라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 자본의 이탈과 한국 수출에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1300조원에 육박하는 가계부채 폭탄의 뇌관을 건드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최근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오는 20~2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개최한다.

미 연준의 9월 금리인상 여부는 여전히 유동적이지만, 최소한 연내 한차례 금리인상은 기정사실화 하는 분위기다. 

문제는 미국의 금리인상 전망에 따른 달러화 강세로, 당분간 원/달러 환율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투자자들의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위축돼 채권, 주식 등 증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다.

실제 한국은행의 국제수지 통계를 보면 미국의 금리인상이 불거진 작년 6월부터 인상이 이뤄진 이후 올해 2월까지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 9개월 연속 외국인 자금이 유출됐다. 이 기간에 이탈한 외국인 자금은 266억 달러(약 30조원)에 달한다.

이와 함께 중국 등 신흥국 경제가 자본유출로 타격받을 경우, 가뜩이나 부진한 우리나라의 수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달러화 강세는 원자재 가격하락을 불러와 원자재 수출 비중이 높은 중남미, 아세안 국가들의 수요부진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미국의 금리인상은 한은의 기준금리 운용을 제한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자본에 개방된 한국과 같은 신흥국은 독립적으로 이자율을 결정하기 어렵다.

실물경기 침체와 낮은 물가상승률속에서 통화당국이 금리인하를 통해 경기부양을 꾀했으나, 국제 이자율 상승에 맞춰 국내 이자율을 올려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 올 수 있다는 의미다.

가계부채 문제도 심각한 상황이다. 지난 2분기말 기준 1257조3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가계부채가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라 국내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가계의 이자 부담은 더욱 커지게 된다. 저금리속에서 급증추세를 보인 가계부채가 한국경제를 짓누를 수 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만 올려도 가계가 새롭게 부담해야 할 '이자 폭탄'이 연간 2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 역시 미국의 금리 인상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부는 22일 미국 금리인상 여부 결정에 따라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양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는 만큼,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 통화정책을 면밀히 모니터링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민간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이자율을 낮추기는 쉬워도 올리기는 정치적으로 매우 어렵다"며 "글로벌 금리변화가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비해 최적의 통화정책과 함께 시장과 소통하는 전략을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