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초읽기… 국내 금융시장 폭탄
2016-09-18 22:32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 추석 연휴가 끝난 가운데 국내 금융시장의 관심은 오는 20~21일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쏠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여부가 남은 하반기 국내 금융시장의 가장 큰 변수이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연내 인상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현재 9월보다 12월 인상 가능성을 더 높게 보고 있지만 9월 인상 역시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미 금리인상→외국인 자본 유출… 한은 통화정책 제약
미국의 금리인상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한국은행이 향후 통화정책을 운용하는데 큰 제약이 따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신흥국인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외국인 자본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어 대내외 금리차를 고려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9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소규모 개방경제국은 자본유출 위험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이 금리 인상을 할 경우 우리의 실효하한 금리 수준이 올라갈 수 있다"면서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기축통화국 금리보다 높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신흥국 자본 유출입 변동성 완화정책 운용현황' 보고서에서 "미국 금리가 인상되면 단기적으로 자본유출이 불가피하지만 이탈 강도가 종전보다 제한적일 것"이라면서도 "다만 달러화 강세와 함께 위안화 절하, 원자재가격 하락 등이 겹칠 경우 위험자산 회피 분위기가 증폭되면서 신흥국의 자본이탈이 급속히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상황이 이렇자 한국은행이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25%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의 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시점에서 한은이 금리를 내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정부와 한은에서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졌고 경기가 둔화하면 통화정책보다 재정의 효과가 크다는 연구자료가 발표된 점에서 금리 동결 결정 명분을 쌓아가는 모습이다"고 설명했다.
◆미 금리인상 가계부채 폭탄 도화선?
또 미국 금리인상이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위험으로 꼽히는 가계부채 폭탄 뇌관을 건드릴 우려도 존재한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한은도 금리를 따라 올릴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국내 대출금리 상승을 부추길 것이란 이유에서다.
이미 주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꿈틀되고 있는 모양새다. 은행권에 따르면 신규가입자를 대상으로 하는 KB국민은행의 혼합형 고정금리는 최저 금리를 기준으로 6월 말 연 2.69%에서 8월 말 연 2.74%로 뛰었다. KEB하나은행의 혼합형 고정금리는 같은 기간 연 2.64%에서 연 2.73%, 신한은행은 연 2.69%에서 연 2.80%로 각각 상승했다. 우리은행의 혼합형 고정금리는 연 2.70%에서 연 3.05%로 올랐다.
미국이 연내 한 차례 이상 금리를 올리면 한은은 금리 인상 압박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은은 이르면 내년 중으로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국내 대출금리 상승이 불가피하다.
대출금리 상승은 가계 이자 부담으로 이어져 소비를 위축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국내 경기 회복세를 제약할 우려가 있다.
이미 가계부채 총량은 임계점을 넘어섰다는 평가다. 가계부채는 올해 2분기 말 기준 1257조3000억원으로 한국은행이 가계신용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후 가장 큰 규모다. 부채 증가 속도도 가팔라 연말이면 1300조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88.4%다. 13년째 비교 대상 신흥국 가운데 1위다.
이에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당초 예정보다 한 달가량 앞당겨 시행키로 하는 등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