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만에 국내 첫 '콜레라' 환자 발생, 무증상 보균자 많아 급속 전파될 수 있어…'예방 중요!'

2016-08-23 15:51

[사진=연합뉴스 제공]
 

아주경제 전현정 기자 = 국내에서 처음으로 콜레라 환자가 발생해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콜레라에 대한 궁금증이 높아지고 있다.

국가건강정보포털 자료에 따르면, 콜레라는 19세기 이후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범세계적으로 수차례에 걸쳐 발생했고 최근까지도 유행이 지속되고 있다. 1991년 'O1형' 유행으로 남아메리카 10개국에서 39만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했고, 1997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14만 7천명 이상이 보고되었다.

1992년 인도에서는 'O139형'이 처음 발견돼 아시아 7개국에서 발생했고, 2005년 전 세계 52개국에서 사망 2,272건을 포함해 131,943건이 보고되었다.

국내에서는 1940년까지 29차례에 걸쳐 '고전형 콜레라'의 대규모 유행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1980년에는 145명, 1991년에는 113명, 1995년에는 68명에게서 '엘토르형(LI Tor)콜레라' 유행이 있었다.

2001년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162명의 환자가 발생한 이후, 거의 해외유입 환자만 간헐적으로 신고되어 오다가 15년만인 올해 2016년에 국내 첫 콜레라환자가 발생했다.

콜레라는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e)라는 세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설사 질환으로, 대부분 증상이 경미하지만 20명 중 1명은 심한 물같은 설사, 구토, 팔다리 저림 등의 심한 증상을 나타낸다.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수시간 내에 체내 수분이 급속히 빠져나가는 탈수현상이 일어나며, 이로인한 쇼크로 사망할 수 있다.

또한, 콜레라는 증상이 심한 환자 1명 당 약 100여명의 무증상 보균자가 있을 정도로 무증상 보균자가 많아서 급속히 전파될 수 있는 전염병이다.

콜레라는 감염된 환자의 배설물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콜레라에 걸린 환자는 항생제 치료 종료 48시간 후부터 24시간 간격으로 2회 대변배양검사를 실시하고 검사결과가 음성일 때까지 격리조치된다.

접촉에 의한 전파는 흔하게 발생하지는 않지만, 환자와 음식이나 식수를 같이 섭취한 사람은 마지막으로 접촉한 시점부터 5일간 발병여부의 감시가 필요하다.

2차 감염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우는 예방을 위해 항생제 복용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성인과 소아 모두 항생제의 일종인 테트라사이클린이나 독시사이클린을 3일간 복용하게 된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콜레라를 예방하기 위해 오염된 음식물의 섭취를 금지하고 물과 음식물은 철저히 끓이거나 익혀서 섭취할 것을 권했다. 또한, 음식물을 취급하기 전과 배변 뒤에 30초 이상 손씻기를 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