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대우조선해양 사태 시장 정화 계기로

2016-08-23 11:17

[증권부 류태웅 기자.]
 

아주경제 류태웅 기자 = 대우조선해양이 상장폐지는 면할 것으로 보인다. 유동성 악화로 상장폐지설이 나돌았지만 회사 측은 연내 증자를 통해 일단 급한 불을 끄기로 했다. 

하지만 상장폐지 유무를 떠나 대우조선해양 사태가 시장에 미친 영향은 작지 않다. 일각에선 허위 공시로 시장 질서를 문란하게 한 것은 중국원양자원과 다르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한국거래소는 중국 현지를 방문해 중국원양자원의 허위 공시 사실을 밝혀내고, 불성실공시법인 및 관리종목으로 지정한 바 있다. 거래소가 부과한 제재금 가운데선 가장 큰 2억원을 부과하기도 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대우조선해양과 중국원양자원은 국적이 한국이냐, 중국이냐 말고 다른 게 뭐가 있냐"며 "둘다 명백한 허위 공시를 했는 데도 바라보는 입장과 내려진 조치는 너무나도 다르다"고 말했다.

실제 대우조선해양은 2012~2014년 5조4000억원대의 분식회계를 했고, 4500억원의 이익을 낸 것으로 허위 공시했다. 

거래소는 오는 29일까지 대우조선해양 거래를 정지했지만, 그 사유는 대우조선해양 수뇌부들의 분식회계 혐의에 따른 검찰 수사에 따른 것이다. 허위 공시가 명백한 데도 이에 따른 제제가 후행되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특히 대우조선해양 사태는 청와대 서별관에서 청와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권력기관 수장이 대우조선해양의 부실에 대해 인지하고도, 공적자금 지원을 결정해 키웠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청와대 입김이 실제 작용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어느 기관이든 서로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셈이다.   

대우조선해양의 분식 회계 및 허위 공시로 인해 잃는 것은 천문학적인 혈세 뿐 아니라 소액주주들의 피눈물, 우리 시장에 대한 신뢰성이다.

해답을 찾는 법은 다양하다. 필요하다면 사적거래를 허용하는 외부회계감사를 일부 수정하거나  금융 공공기관의 독립성을 강화하는 식이다. 국민의 목소리를 귀담아 들으면 답은 쉽게 나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