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밸리, "P2P대출 제도화 등 크라우드펀딩 5대 과제 개선으로 극복"
2016-07-20 09:22
중기중앙회, 22차 '중소기업 창조경제확산위원회'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초기기업들이 자금, 성장동력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는 '데스밸리를 넘기 위해서는 후속투자와 사후관리가 절실하다.
데스밸리란 창업 3~7년차 기업이 매출부진, 투자금액 고갈 등으로 성장 정체기에 들어서는 상황을 말한다. 실제 벤처기업 10곳 중 6곳은 3년 만에 사라질 정도로 데스밸리의 늪은 깊다.
한국의 경우 창업 1년 이내 창업기업 비율, 창업투자회사(VC) 투자액 등 양적 지표 순위는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주요 회원국 중 상위권이나 창업기업의 5년차 생존율은 24개국 중 최하위인 23위에 해당하는 등 창업 이후 데스밸리 극복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P2P대출 등 유사 업종 제도화 등 크라우드 펀딩 5대 과제를 개선해 데스밸리를 극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소기업 창조경제확산위원회(공동위원장 박성택·김광두)는 20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김광두 위원장을 비롯한 40여명의 위원이 참여한 가운데 제22차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창조경제확산위원회는 중소기업 중심의 창조경제 확산과 정책대응을 위해 중기 오피니언리더 중심으로 구성된 위원회로 2013년 7월 출범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이 시행된 지 6개월이 흐른 상황에서 투자·창업 생태계의 선순환 측면에서 현재 크라우드펀딩 시장상황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고용기 오픈트레이드 대표는 '크라우드펀딩 활성화를 위한 제언'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6개월 밖에 되지 않은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52개사가 81억원을 조달해서, 시적 성과를 거뒀다"며 "데스밸리를 이기는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고 대표는 크라우드펀딩 인지부족, 우수기업의 참여유도 어려움, 적극적인 엔젤투자 참여 애로, 투자회수 시장 미흡 등의 문제를 지적했다.
이를 위해 그는 P2P대출 등 유사 업종 제도화, 광고 및 홍보 등 규제 개선, 투자·발행 한도 확대, 접근 용이성 제공, 기존 사모시장 지원과 연계한 메리트(Merit) 프로그램 도입 등 5대 과제를 제안했다.
크라우드펀딩은 창조경제확산위원회가 핵심 의제를 선정하고 2013년 9월에 첫 번째로 논의했고, 위원회와 중소기업계가 제도 도입을 위해 공동 노력을 펼친 과제로 인연이 깊다.
중소기업청은 올해 창업도약패키지사업 예산을 1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두 배로 늘렸다. 지원받는 기업도 100개에서 160개로 확대했다. 클라우드펀딩과 해외 판로를 확대할 수 있는 벤처 지원 프로그램과도 연계를 늘리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국내 스타트업이 데스밸리를 극복할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전담 센터, 민간 창업투자회사(VC)와 함께 성공모델을 지속 발굴하겠다는 전략이다. 창업자는 핵심 아이디어에 집중하고 생산, 마케팅 등 공동 분야는 아웃소싱을 통해 창업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