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태화강·대전 갑천 선진국형 물순환 도시로 거듭난다
2016-06-08 12:00
환경부, 울산·대전광역시 등 5개 물순환 도시 선정
도시별 목표설정 및 기본계획 수립 등 개선사업 착수
도시별 목표설정 및 기본계획 수립 등 개선사업 착수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울산 태화강과 대전 갑천 등이 자연친화적 도시로 탈바꿈한다. 호주 브리즈번 시청의 빗물 정원이나 미국 시애틀 보도블럭의 식생 체류지와 같은 선진국형 도시로 거듭나겠다는 것이다.
환경부는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경북 안동시, 경남 김해시 등 총 5개 도시를 ‘물순환 선도도시(촉촉한 도시)’로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 2월부터 4월까지 인구 10만명 이상 대도시 74곳을 대상으로 물순환 선도도시를 공모했으며, 총 9개의 도시가 지원했다.
내년에는 도시별로 물순환 개선목표와 실행계획을 담은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후 2020년까지 물순환 취약지역에 대한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물순환 개선사업을 추진할 때 식생수로, 옥상녹화 등 국내에 이미 도입된 저영향개발기법 외에 보다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기법을 공모해 도시 마다 특색 있는 시민 생태 휴식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울산광역시(태화강 철새서식지 인근·96억원), 경북 안동시(문화의 거리·410억원)는 실개천과 유사한 기능인 식생 수로를 조성한다. 빗물 수직 순환뿐만 아니라 수평적인 순환도 강화돼 수생태계 건강성이 높아지고 생태네트워크도 복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경남 김해시(동상‧회현‧부원 상업지구 150억원)는 오래된 도심 시가지에 빗물정원, 식생수로 등을 조성해 도시 경관과 물순환을 함께 개선할 계획이다.
한편 환경부는 23일 대전시청에서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 협약식에는 윤성규 환경부 장관, 물순환 선도도시로 선정된 시장 5명, 이시진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협약체결 이후 환경부와 5개 물순환 선도도시는 올해 연말까지 도시별로 물순환 개선 목표와 표준조례(안)을 마련하는 등 본격적인 협력을 모색한다.
정부와 지자체가 물순환 도시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우리나라 대도시 도심지역이 불투수 면적율이 높아 비가 많이 내릴 경우 빗물이 직접 유출돼 홍수와 수질악화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가뭄에는 도시에 저장된 물이 부족해 하천이 마르는 등 물순환 왜곡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실제로 서울 청계천 71.5%, 울산 태화강 52.3%, 대전 유등천하류 51.2%, 광주 광주천 46.9% 등 불투수 면적율 25%(유역 건강성 악화 기준) 이상 소권역이 51곳에 달한다.
이러한 물순환 왜곡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도시 전체에 저영향개발기법을 도입해 도시의 빗물 침투‧저장량을 늘려야 하며, 이를 선도적으로 이끌어갈 모델을 만드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저영향개발기법은 도시 개발계획 단계에서부터 빗물 침투‧저류를 고려해 자연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기법이다.
이미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도시 빗물 분산관리를 위해 빗물을 침투‧저류시키는 저영향개발기법을 적극 도입 중이다. 수질개선, 빗물 유출저감, 열섬완화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미국 워싱턴 주에서는 빗물 분산관리 조례를 2002년 제정한 후 부유물질, 질소‧인 등 수질오염이 60%이상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크론스베르크 주거단지는 빗물(우수)관 없이 식생수로-침투트렌치 연계를 통해 주거단지 개발전 물순환량을 회복하고 있으며, 베를린 시는 불투수면을 저감시켜 여름철 기온을 최대 3℃ 가량 낮추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국내에서도 충북 오창에 조성된 빗물유출제로화 단지 사례를 분석한 결과 빗물 유출량의 17.5%가 감소해 비점오염저감으로 인한 수질개선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