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기업 내부유보금 사상 최대치 기록

2016-06-05 19:26
아베 노믹스의 '선순환' 설득력 잃어

[사진=연합/AP]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아베 노믹스의 대규모 금융완화가 경기부양에 효과가 없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아베 총리는 대규모 금융완화를 필두로 한 아베노믹스로 대기업들이 고수익을 얻게 하면, 대기업들은 임금 인상에 적극 나서고 그에 따라 개인 소비가 활성화하는 이른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될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일본 기업들의 내부 유보금을 쌓아두고 설비투자와 직원들의 임금인상에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도쿄신문이 5일 보도했다. 내부 유보금은 기업의 매출액에서 직원들에 대한 급여와 주주들에 대한 배당금을 제하고 남은 '이익 잉여금' 누적치를 말한다.

일본 재무성이 지난 1일 발표한 1분기(1∼3월) 법인기업 통계(금융·보험업 제외)에 의하면 내부 유보금을 의미하는 '이익 잉여금'이 3월말 시점에서 작년 같은 시기 대비 6% 증가한 366조 엔(약 3987조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제2차 아베 내각이 발족한 2012년 12월과 비교하면 34% 증가한 것이다.

일본 기업들의 내부 유보금이 아베 정권 하에서 급증한 것은 2013년 4월 시작한 일본은행의 대규모 금융완화로 엔화 약세가 진행함에 따라 기업들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매출과 이익의 엔화 환산치가 크게 증가한데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일본 기업들은 대규모 금융완화의 효과가 얼마나 오래갈지 알 수 없다는 인식 속에 국내 설비 투자와 직원들에 대한 임금 인상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올해 1분기 일본 기업들이 직원들에게 지급한 급여는 28조 엔(약 305조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제2차 아베 내각 출범 무렵인 2012년 4분기와 비교하면 3% 감소했다.

기업들의 현금 보유량과 예금액도 쌓여만 가고 있다. 기업의 현금 및 예금 보유고는 아베 정권 출범 이후 27% 증가하면서 3월말 기준 181조 엔(약 1천 972조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