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알코올을 청정휘발유로 만들 ‘꿈의 촉매’ 가능성 찾아
2016-05-30 15:53
홍석봉 교수팀, EU-12 제올라이트 구조 결정 통해 촉매 응용가능성 제시
포스텍 환경공학부 홍석봉 교수. [사진제공=포스텍]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은 연구팀이 알코올을 청정휘발유로 만드는 촉매 응용 가능성을 찾았다고 30일 밝혔다.
포스텍 환경공학부 홍석봉 교수, 박사과정 배주나씨 연구팀은 화학 분야 세계최고의 권위를 지닌 안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지를 통해 30여 년 간 구조가 알려지지 않은 EU-12 제올라이트의 구조 결정에 성공해낸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이 제올라이트의 촉매반응을 예측하는데 성공해 최적의 촉매로 알려진 MOR 구조의 제올라이트보다 에테인(ethane)을 10% 더 많이 선택해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홍 교수팀은 두 가지 종류의 무기양이온, 나트륨과 루비듐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새로운 방식으로 EU-12 제올라이트를 합성하고 포항가속기연구소의 X-선 회절 데이터분석을 이용해 구조 결정에 성공했다.
그 결과 이 제올라이트가 산소 원자 8개 고리로 이뤄진 미세한 구멍의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구멍들 사이에서도 일정간격으로 꺾인 다른 구멍과 교차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밝혀냈다.
아울러 지금까지 가장 높은 효율을 보인 것으로 보고된 MOR 구조의 제올라이트보다 이 EU-12 제올라이트가 에테인을 10% 더 많이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연구를 주도한 홍석봉 교수는 “이번 결과는 그간 베일에 가려져 있던 EU-12 제올라이트의 촉매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한 선행연구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