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랭지 밭 흙탕물 수질오염 ‘드론’으로 감시한다

2016-05-19 15:18
고랭지 밭 지리정보시스템과 경작지 변화추이 지속 관리

드론으로 촬영한 고랭지 밭 사진. [사진제공=환경부]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환경부는 매년 강우 때마다 고랭지 밭에서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흙탕물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자 항공기, 드론을 활용한 ‘고랭지밭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구축한다고 19일 밝혔다.

고랭지밭 지리정보시스템은 불법 경작지와 수질오염 유발형 경작행태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적도, 항공사진, 드론 촬영, 토지이용현황 등의 정보를 웹 방식 형태로 구현한다.

환경부는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으로 고랭지 밭 경작지를 시간 경과에 따라 변동하는 ‘시계열(時計列)’로 분석해 흙탕물 발생을 유발하는 불법경작지 단속에 활용할 계획이다.

또 내린천, 인북천 등 소유역별로 토양 유실량을 산정해 흙탕물을 가라앉히는 침사지 등 저감시설을 설치할 때도 활용한다.

올해는 홍천군 자운지구 고랭지 밭을 대상으로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2018년까지 평창군, 양구군, 인제군, 삼척시, 정선군 등 고랭지 밭에 대해 연차적으로 구축할 방침이다.

홍천군 자운지구에 대해서는 다음달 항공영상을 제작하고 8월까지 고랭지 밭 현황조사를 완료한다. 7월부터 9월에는 고랭지 채소 파종·수확 시기를 고려해서 드론으로 촬영할 계획이며, 11월 말에는 자운지구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이 완료될 예정이다.

한편 환경부는 고랭지 밭 흙탕물 저감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침사지 등 흙탕물 저감사업과 병행해 불법경작 확산 방지, 다년생 작물로 작목 전환 유도, 우회수로와 돌망태(개비온) 옹벽 설치 등 발생원 관리대책도 추진한다.

또 양구군 해안면 지역에는 무분별한 고랭지 밭 확산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비점오염(흙탕물) 마지노선 조성사업’을 한강수계관리기금 사업으로 진행한다.

강복규 환경부 수생태보전과장은 “고랭지 밭에 대한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과학적인 경작지 관리가 가능해 진다”며 “불법경작지 원천적 차단과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체계적인 설치를 통해 흙탕물 발생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