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맞춰 떠오르는 ‘손학규 등판론’…“국민 요구는 새판 시작”

2016-05-18 16:15

손학규 전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사진은 지난해 11월22일 고 김영삼 전 대통령 빈소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5·18 광주 민주화항쟁 36주기 기념식에 발맞춰 손학규 전 상임고문의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그간 야권이 위기에 처했을 때마다 ‘구원 등판’한 손 전 고문은 2014년 7·30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전남 강진으로 낙향했다. 다만 손 전 고문의 싱크탱크인 ‘동아시아미래재단’ 강연 등 일부 행사에서는 박근혜 정부 비판 등 정치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

과거 군부독재 시절 ‘빈민운동’에 투신했던 손 전 고문은 5·18 광주 민주화운동 36주기인 18일 정치권의 ‘새판 짜기’를 주문했다.

손 전 고문은 이날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던 중 기자들과 만나 “국민이 새 판을 시작하라고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며 “광주의 5월은 그 시작”이라고 의미심장한 말을 던졌다.

이어 “여기 온 취지를 말씀드리겠다. 5·18의 뜻은 시작”이라며 “각성의 시작이자 분노와 심판의 시작이다. 또한 용서와 화해의 시작이기도 하다”고 여·야 정치권을 에둘러 비판했다.

그는 거듭 “지금 국민의 요구는 이 모든 것을 녹여내는 새판을 시작하라는 것”이라며 정계개편 가능성을 예고했다.

손 전 고문은 박근혜 정부가 ‘임을 위한 행진곡’의 제창을 불허한 데 대해 “당연히 제창으로 …”라며 “‘임을 위한 행진곡’이 기념곡으로 지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손 전 고문은 ‘새로운 시작 언급을 정계복귀 의사로 받아들여도 되느냐’는 취지의 질문에는 “5·18이 국가행사로 지정된 1993년 이래 외국에 있을 때를 빼고는 매년 여기에 왔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이른바 ‘손학규 역할론’에 대한 질문이 쏟아지자, “이 정도만 (얘기) 하죠”라고 짧게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