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런 의장 "최후 수단으로 마이너스 금리도 검토"

2016-05-13 09:43
지난 2월에 이어 두 번째 언급..."다각도 검토 필요" 선 그어

[사진=미 연방준비제도 트위터]


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최후 수단으로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마이너스 금리를 언급한 것은 지난 2월 이후 두 번째다.
 
CNN 등 외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옐런 의장은 브래드 셔먼 하원의원(민주당)이 경제 위기가 발생할 경우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할 계획이 있는지를 묻는 서면 질문에 대해 이같이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옐런 의장은 "향후 매우 부정적인 상황이라면 마이너스 금리 도입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겠다"며 "그 수단을 채택하기 전에 정책 당국자들이 다양한 이슈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게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할 법적 권한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옐런 의장은 지난 2월에도 마이너스 금리 도입 가능성을 언급했었다. 지난 2월 11일(현지시간)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한 옐런 의장은 마이너스금리 도입 가능성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도입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옐런 의장은 "2010년에 마이너스 금리를 고려했지만, 완화정책 효과를 충분히 낼 수 없다고 판단했다"며 "다른 나라에서 마이너스 금리가 나타나고 있는 점을 감안해 대비 차원에서 다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다각도의 검토가 필요하다는 말로 선을 그었었다.

마이너스 금리는 금융기관에 돈을 예치할 때 금융기관이 이자를 지급하는 대신 오히려 요금을 받는다는 개념으로, 자금 유통을 활성화시키려는 목적이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에 이어 일본은행도 경기 부양 조치의 일환으로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했다.

한편 옐런 의장은 서면 답변에서 "미국 경제가 계속 강화되고 시간이 지나면 인플레이션도 목표치(2%)에 근접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