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공공데이터 시민 활용도 낮아...개선 '시급'
2016-05-02 14:28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21세기의 원유라 불리는 공공데이터를 전국 지자체 중 부산시가 가장 많이 오픈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시민들이 이용하기에는 데이터 부족, 활용도 미약, 표준화 등의 문제점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부산발전연구원은 2일 BDI 정책포커스 '21세기의 원유, 부산시 공공데이터 관리방안' 보고서를 통해 "부산시 공공데이터 개방은 실 수요자인 시민과 기업이 원하는 데이터를 우선 제공해야 하지만, 데이터량, 활용도, 표준화가 미약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공공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전자화된 파일 등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목적을 위해 생성, 취득해 관리하는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된 자료나 정보를 말한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오동하 연구위원은 “공공데이터는 시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통한 삶의 질 제고, 신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 행정을 가능케 하는 21세기 의 새로운 자원”이라고 밝혔다. EU, 영국, 미국, 일본 등 많은 국가가 새로운 사업 창출과 부가가치 증대를 기대하고 공공데이터 개방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부산시는 현재 부산 공공데이터포털을 구축해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15개 분야 1,320개 데이터세트(dataset)을 개방하고 있어 양적으로는 지자체 중 선두권이다.
오 연구위원은 “공공행정이 가장 많고 산업고용, 문화관광 순으로 개방되고 있지만 시민생활과 관련이 많은 교육, 복지, 안전, 건강 등의 데이터는 개방개수가 적다”고 밝혔다.
부산시 공공데이터 활용 척도로 볼 수 있는 다운로드수는 3만 2,014회로 데이터세트당 26.1회로 나타났다. 공개된 데이터 중 이용할 만한 데이터가 적다는 것이다.
부산시 공공데이터 개방에 데이터 표준화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별로 제공하는 데이터 형태가 달라 사용자가 다시 변환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데이터 세트이지만 구별 세부항목이 달라 사용자가 새로 데이터를 구해 입력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부산시 공공데이터 관리 개선방안으로 양질의 데이터 확보를 위한 데이터 생산체계 개선, 데이터 관리시스템 구축, 공공데이터 활용성 제고, 제도적 기반 강화 등을 제시했다.
또, 공공데이터 활성화의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해 부산시 공공데이터 관리위원회 구성, 부산시 공공데이터 활성화 조례 제정, 부산시 공공데이터 관리센터 설립도 제안했다.
오 연구위원은 “수요조사를 통해 주 수요자인 기업과 시민이 원하는 데이터를 우선 제공해야 하고 교육, 교통, 환경 등 생활밀착형 데이터 공급에 신경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데이터 표준화 세부지침을 마련하는 한편 시민 대상의 공공데이터 활용 아이디어대회 등을 개최해 공공데이터의 인지도를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