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베이징모터쇼 배터리 풀라인업 전시...中 시장공략 '가속화'

2016-04-25 08:42

삼성SDI가 2016 북경모터쇼에서 중국 전기차 시장을 겨냥해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차용 배터리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삼성SDI 제공 ]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삼성SDI가 25일부터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오토차이나 2016(Auto China 2016)’에서 다양한 하이테크 제품들을 선보였다.

삼성SDI가 이번에 전시한 급속충전 배터리 셀은 30분 내에 80% 이상 급속충전을 반복해도 성능 저하가 없는 업계 최고 수준의 고출력 장수명 제품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짧은 점심시간을 활용해 급속 충전 후 오후에 운행을 하고자 하는 상용차 회사들을 위한 것"이라며 "오전 오후 두 번 연속운행이 가능해 상용 전기차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충전시간을 단축하는 것은 주행거리 확대와 함께 배터리 업계의 기술 경쟁이 가장 치열한 분야다. 자동차 회사들은 배터리 회사들에게 충전속도가 빠른 급속충전 셀 개발을 주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SDI의 이번 급속충전 셀 출시는 향후 수주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 삼성SDI는 37Ah, 50Ah, 94Ah, 120Ah 등 다양한 종류의 셀과 모듈을 전시했다.

50Ah은 37Ah에 비해 35%,120Ah은 94Ah에 비해 28% 각각 용량이 개선된 셀이다. 특히 37Ah와 50Ah, 94Ah와 120Ah 셀은 각각 동일한 표준형 모듈을 적용했다. 모듈이 표준화되면 자동차 디자인의 표준화가 용이하다는 게 삼성SDI 측의 설명이다. 

모듈은 보통 12개 셀을 한 줄로 묶는데 이미 개발된 모듈 디자인에 고밀도 50Ah, 120Ah 셀을 적용하면 주행거리가 늘어난 전기차 개발을 할 수 있고 개발 비용 또한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동차 회사의 관심이 높다.

삼성SDI는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분야인 원통형 배터리도 전시했다.

삼성SDI는 ‘18650 셀’(지름 18mm, 높이 65mm)과 함께 18650보다 에너지 용량을 최대 35%까지 늘린 ‘21700 셀’(지름 21mm,높이 70mm) 제품을 출시해 한발 앞선 기술력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HSBC 등 조사기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는 2014년 대비 240% 이상 늘어난 총 33만대의 전기차(EV+PHEV 기준)가 판매됐다. 또한 글로벌 전기차 판매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4년 27%에서 지난해 무려 47%까지 급등했다.

삼성SDI는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해 시안공장과 지난해 인수한 마그나의 배터리 팩 생산거점을 활용한 셀, 모듈, 팩까지의 현지 ‘원스톱 생산체제’를 갖춰 현지 중국 자동차 업체들에게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조남성 삼성SDI 사장은 “중국은 세계 최대의 전기자동차 시장의 허브로, 삼성SDI는 다양한 고객 맞춤형 제품과 현지 원스톱 생산체제 구축을 통해 중국 전기차 시장의 발전에 일익을 맡을 것”이라고 밝혔다.